[건강칼럼] 김윤석 씨(가명)는 현실에서 많은 힘겨움을 안고 있습니다. 현실만을 살펴보면, 대학이라는 부분이 마음에 들지 않고, 미래에 대한 비전이 없다고 느끼고, 뭔가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이 불편한 정서를 해소하고자, 연애도 해보고, 다른 여러 방법들을 써보았지만 불편감을 근원부터 해결하는 방법은 없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자연스레 가장 편하고, 자신에게 합리적인 탈출구인 게임을 선택해 현실을 도피합니다. 이것이 중독의 기전입니다. 기본적으로 좌절, 불안이라는 정서가 원인이 된 우울증을 내면에 둔 채 밖으로는 게임에 몰두하는 게임중독의 증상을 보이게 된 계기입니다.

불안함과 우울증이 동반된 게임중독에 대한 치료적인 부분은 크게 현실, 마음, 몸으로 3가지로 나누어 치료 합니다.

첫 번째, 현실에 대한 탐구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사실 본인도 왜 게임중독에 빠졌는지, 왜 불안하고,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 같은 우울한 상태에 들어섰는지 정리를 할 수가 없습니다.

내 증상의 근본원인은 충족되지 않은 현실, 보이지 않는 미래라고 생각하고 있는 내 생각이 문제임을 알고 이 부분을 정리해서 나의 근본원인에 대한 통찰이 치료의 시작입니다.

두 번째, 마음에 대한 부분으로 내 생각에 대한 탐구가 필요합니다. 이런 상황에 대한 나의 믿음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또 나의 감정이 상황에 대한 적절한 표현인지 아니면 증폭되어 더 많은 표현을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상황에 맞는 표현들은 병이 아닙니다. 아플 때 아프고, 슬플 상황에서 슬픈 것은 감정이 제대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작은 상황에서 크게 반응을 하는 것은 병이 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내가 원하는 상황으로 현실을 만들려면…. 이것에 대한 가능성은 있는지, 어떻게 하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현실을 이끌 수 있는지를 탐구해서 여러 솔루션들을 취합하고, 탐구하여, 현실을 받아들이고, 미래에 대한 비전과 단기적인 목표들을 가지는 것 만으로도 좌절을 동반한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한방정신과에서는 몸의 증상과 마음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경락은 의식과 감정의 통로라고 합니다. 각 경락마다 흐르는 감정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김윤식님의 경우는 경락진단 상, 족소양 담경의 에너지가 부족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희망이 사라지고, 의욕이 상실되어 나타나는 부정적인 정서들과, 의욕상실, 대인기피, 자신감결핍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감정조절을 위하여 사암침법의 족소양담정격을 시술하여 담경락의 에너지를 증진시켜 자신감과 용기와 담력을 강화하는 치료를 하였고, 기력을 올려주고, 기분장애를 해소하는 향부자와 황기, 용안육등의 약초를 이용하여 몸과 마음의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를 하였습니다.

학생들은 나이가 20세 안 밖이기 때문에, 그 상황에서 크게 내가 가졌다고 하는 생각이 없습니다. 그래서 피해의식이 일어납니다. 주로 비교대상이 형님, 부모님, 이미 성공한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성공한 사람들도 20세 초반에는 거의가 본인과 비슷한 상황이었을 것 입니다. 나이가 먹고, 연륜이 쌓이고, 학교를 졸업하고 여러 기회들을 접하면서 남 들보기에 성공이라는 상황에 도착한 경우가 많습니다.

20대 초반에는 불안감이 크고, 아무리 긍정적으로 살펴도 내가 부족하다고 느낍니다. 이 상황이 나에게 국한된 것이 아니고, 누구나 겪는 과정이라는 통찰을 통해 여유를 가지고, 한걸음씩 나간다면, 많은 경우 시간이 해결해주리라 생각됩니다. /자하연한의원 임형택박사(경희대 한의학 외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