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교도들이 건국의 기틀을 다진 나라인 미국에서 개신교 대법관이 사라질 것 같다. 청교도는 16세기에 종교개혁을 거치며 로마 가톨릭에서 갈라져 나온 개신교의 한 종파다. 개신교 내에서도 청빈을 강조하는 청교도들은 17세기 초에 신대륙으로 건너왔다.
미국의 현직 대법관 9명 가운데 유일한 개신교 신자인 존 폴 스티븐스(90)가 다음달 사퇴할 가능성이 크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스티븐스 대법관은 고령으로 건강이 최근 크게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그는 올 초 4명까지 채용할 수 있는 보좌관 수를 1명으로 줄였다. 그가 사퇴하면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개신교를 믿는 대법관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미국 대법관 9명 중 6명은 가톨릭 신자다. 2명은 유대교 신자이고, 스티븐스 대법관만 개신교를 믿는다. 미국은 국민의 절반을 넘는 51%가 개신교 신자다. 이런 비율로 따지면 개신교 대법관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과거에는 소수 종교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가톨릭 신자 대법관들을 임명하기도 했다. 소수 종교 신자들의 의견을 보호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최근 상황이 역전됐다. 다수였던 개신교 신자 대법관은 점차 줄고 2006년에는 가톨릭을 믿는 대법관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현재 존 로버츠 대법원장을 비롯해 지난해 인준된 소니아 소토마요르 대법관도 가톨릭 신자다. 지난 국정연설 때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대법원 판결을 비난하자 고개를 가로 저으며 "그게 아니다"라고 혼잣말을 했던 사무엘 알리토 대법관도 가톨릭 신자다. 유대교의 경우 1916년 처음 대법관을 배출했으며 현재 2명의 대법관 신자를 갖고 있다.
미국 내에서는 대법원의 이러한 변화에 대해 크게 우려를 하지는 않고 있다. 종교가 판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WP는 다수의 가톨릭 신자 대법관으로 인해 미국 사회의 보수화 경향이 뚜렷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낙태와 사형제 폐지 논란에 대해서는 이들의 종교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