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새벽 북한 황강댐의 방류로 발생한 야영객 6명의 실종사고와 관련, 국방부는 "의도하지 않았던 일종의 수공(水攻)에 대한 대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국방부 원태제 대변인은 7일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수공의 의도가 있는지 그 부분에 대해서는 면밀히 검토를 하고 있다"며 "북한이 만약에 수공을 한다면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는 면밀하게 계획을 수립해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북한이 의도적인 수공을 펼쳤다는 징후가 있냐는 질문에 원 대변인은 "지금까지 없으며, 현재까지는 수공이라는 표현은 쓰지 않고 있다"고 말한 뒤 "의도가 있었을 경우 수공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군에서 수위가 늘어나는 것을 확인한 뒤 관계 기관에 통보가 늦은 것이 아니었냐는 질문에 원 대변인은 "수위가 증가하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면 관련기관에 직접 전화를 하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그 부분을 우리가 조치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감스럽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임진교 근처에 있던 군단에서는(임진강의 수위를 보고받고)아직까지는 그렇게 수위가 심각하게 위험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좀더 상황을 두고 봐도 되겠다는 판단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