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는 6일간 '국장(國葬)'으로 치러져 23일 영결식이 거행된다. 장지는 서울 동작동 국립 서울현충원으로 정해졌다. 대한민국 건국 이후 국장은 1979년 10월 재임 중 서거한 박정희 전 대통령 장례가 유일했다. 따라서 김 전 대통령의 국장은 역대 두 번째가 되고 전직 대통령으론 첫 국장이다.
정부는 19일 밤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김 전 대통령의 영결식은 23일 오후 2시 국회 본청 앞 광장에서 엄수되고, 안장식도 같은 날 거행된다. 국장 기간에는 전국적으로 조기(弔旗)를 게양한다. 장의위원장은 한승수 국무총리가 맡기로 했다.
정부는 최규하·노무현 전 대통령 등 전직 대통령의 장례가 국민장으로 치러진 전례를 들어 국민장을 권유했지만, 김 전 대통령측과 민주당은 국장을 요구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이날 오후까지 장례 형식을 결정하지 못했지만, 이를 보고받은 이명박 대통령이 '6일 국장' 안을 수용했다고 정부 관계자는 전했다. 김 전 대통령 부인인 이희호 여사는 이날 밤 '국장' 결정에 대해 이 대통령과 정부에 감사를 표시했다고 민주당 박지원 의원이 전했다.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무회의 브리핑에서 "유족의 뜻을 존중하고 고인의 업적을 기리며 이를 통한 사회통합의 대승적 의의를 위해 국장으로 결정했다"며 "국가경제의 어려움을 감안해 6일장으로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 신촌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에 마련됐던 빈소는 20일부터 국회로 옮겨진다. 김형오 국회의장은 "김 전 대통령을 마지막으로 떠나 보내는 데 한 점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면서 "국회를 일반 국민에게 개방하고 조문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고 허용범 국회 대변인이 전했다.
이날 밤까지 세브란스 병원 1만명, 서울시청 앞 광장 1만명 등 전국 115곳의 분향소에는 수만명의 추모객이 찾았다. 세브란스 병원 빈소에는 이날 하루 전두환 전 대통령을 비롯해 이용훈 대법원장, 한승수 총리,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 정정길 대통령실장 등 정치권 인사와, 정진석 추기경,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 스님, 엄신형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등 종교계 인사들이 조문했다. 와병 중인 김종필 전 총리는 측근을 보내 유가족에 위로의 메시지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