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한 탤런트 장자연씨에게 접대를 강요한 혐의로 수배돼온 장씨 소속 기획사 대표 김모씨가 24일 도피 중이던 일본에서 체포됐다. 김씨는 일본 당국이 강제추방 절차를 밟을 경우 이르면 일주일 안에 송환될 것이라고 한다.
김씨는 처음부터 장씨 자살사건의 열쇠를 쥐고 있던 핵심 당사자였다. 그러나 경찰이 "김씨를 일본에서 데려올 방법이 없다"며 꾸물거리는 사이 밑도 끝도 없는 '장자연 리스트'가 번지면서 갖가지 의혹과 루머가 우리 사회를 흔들어댔다. 장씨는커녕 김씨와도 일면식이 없는 인사들이 리스트에 올라 명예에 막대한 상처를 입었다. 경찰은 지난 4월 24일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했지만 누가 어떻게 장씨를 죽음으로 몰아넣었는지 밝혀내지 못했다.
이제 김씨가 붙잡혔으니 수사에 장애는 사라진 셈이다. 장씨를 착취·폭행하고 장씨에게 접대를 강요했다는 김씨와, 그런 내용이 담긴 문건을 장씨와 함께 작성해 유출시킨 장씨의 전 매니저 유장호씨를 대질하기만 해도 진실의 상당 부분이 드러나게 돼 있다. 문건과 장씨 자살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고, 나아가 장씨가 목숨을 끊어야 했던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밝혀지게 될 것이다.
경찰은 김씨가 실제로 어떤 인사에게 어떤 접대자리를 마련했고, 어떤 인사가 애꿎게 루머에 오르내렸는지도 김씨 입을 통해 낱낱이 확인해야 한다. 경찰은 이미 김씨의 집과 사무실 등 27곳을 압수수색해 회계장부 등 자료 842점, 통화내역 14만여건, CCTV 기록 등을 확보했다. 경찰은 특히 '조선일보 특정 임원'과 관련해 김씨 전화 3대와 장씨 전화 3대의 1년 통화내역 5만여건을 대조한 결과 이 임원과 단 한 건의 통화도 없었으며, 이 임원의 행적기록과 증인의 증언을 대조한 결과 이 임원이 장씨를 알지도 못하고 만난 적도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특정 목적을 위해 조선일보 임원과 조선일보를 음해해온 세력들은 이런 경찰 발표 뒤에 마치 무슨 압력이라도 있는 것처럼 음해를 계속했다. 면책특권을 악용해 국회와 생방송 TV에서 조선일보 임원의 신원을 공개했던 두 야당 의원은 지난 5월 일부 단체의 '장자연 사건 특검' 청원을 소개하면서 국회에서 조선일보를 비방하는 기자회견을 갖기도 했다. 청원에 참여한 단체 중엔 최근 다시 광고주 협박에 나선 언소주도 포함됐다.
경찰은 장씨의 자살 이유와 연예계 착취구조를 파헤쳐 '장자연 리스트'와 관련한 의혹과 루머와 비방이 더이상 발을 붙이지 못하게 하고, 김씨가 국내에 없다는 걸 이용해 악의적 중상(中傷)에 발벗고 나섰던 세력에게도 그 책임을 물을 수 있게 해야 한다. 경찰 수사능력에 대한 의구심을 털어버릴 기회다.
입력 2009.06.25. 22:50업데이트 2009.06.25. 23:32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