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권력에 허망을 느끼고 스스로 권좌에서 물러났다.'의 '허망'이 무슨 뜻인지에 대한 힌트가 '虛妄'에 숨겨 있으니….
虛 자는 의미요소인 '언덕 구'(丘)와 발음요소인 '호랑이 호'(虎)의 생략형(虍)으로 구성된 글자다. 발음요소인 虍(호)가 부수로 지정된 예외적인 글자다. '큰 언덕'(a great hill)이 본뜻이다. '텅 비다'(hollow; quite empty) '헛되다'(in vain; uselessly)는 뜻으로도 쓰인다.
妄 자는 '미친 듯이 날뛰다'(狂亂 frenzy; fury)는 뜻을 위해서 고안된 글자인데, 왜 '여자 여'(女)가 부수이자 의미요소로 쓰였는지? 객관적인 근거는 없다. 亡(망할 망)은 발음요소다. 후에 '거짓말'(a lie)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됐다.
虛妄은 '거짓되고[虛] 망령(妄靈)됨', '거짓이 많아 미덥지 않음'을 이른다. 삶에 초연해지는 데에는 이런 말이 좋을 듯. '흥겨움이 다하면 슬픔이 닥치나니, 성공과 실패는 다 운명에 달렸음을 알아야 한다'(興盡悲來, 識盈虛之有數 - 王勃).
▶ 다음은 '맹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