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당원만 입장할 수 있습니다." 15, 16일 경남 창원과 광주광역시에서 열린 한나라당 정책설명회장 앞에는 공통적으로 이런 문구가 붙어 있었다. 16일 광주 설명회에는 게다가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하는 바람에 당원 중에도 신원조회를 거친 사람만 출입이 허용됐다. 두 곳 설명회 모두 일반 국민은 참석할 수 없는 '그들만의 잔치'였다.
한나라당이 국회에서의 법안 심사를 제쳐두고, 당 지도부가 전국을 돌며 정책설명회를 개최한 목적은 "미디어법 등 쟁점법안이 경제살리기와 연관돼 있는데, 야당이 'MB악법'으로 포장하는 바람에 홍보에 실패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대국민 홍보 강화'였다. 그런데 국민에게 문을 열지도 않고 무슨 홍보를 하겠다는 건지 의문이었다.
정책설명회 내용은 어떨까. 300여 명의 당원이 참석한 15일 창원 설명회의 초반부는 참석 내빈 소개에 상당부분 할애됐다. 심지어 참석 국회의원의 부인들까지 소개했다.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과 '미디어법'은 전문가로 소개된 장윤석 조윤선 의원이 강사로 나섰다. 파워포인트 같은 강의보조 도구까지 등장했다.
그러나 두 사람 모두 전문가일지는 모르겠지만, 핵심을 쉽게 설명해주는 좋은 강사는 아닌 듯했다. 개념도 생소한 인터넷TV (IPTV), 디지털전환 등 전문용어가 속출하자 조는 당원들이 속출했다. 당에서 제작한 '주요법안 해설자료'도 법률 용어 투성이였다.
16일 광주 정책설명회에는 임태희 정책위의장, 안경률 사무총장 등 당 핵심인사들이 총출동했다. 대통령까지 참석한 마당이니 정책에 대한 홍보가 뒤로 밀린 것은 당연했다.
한나라당은 1월 국회 때 쟁점법안 처리가 실패하자, 반성보다는 "정부의 홍보 부족으로 여론이 좋지 않다"며 남의 탓을 했다. 그러나 정작 한나라당이 나선 정책설명회에 참석한 당원들조차 "설명회에 참석했지만 더 헷갈린다"는 말들이 더 많은 것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