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정권인수위원회가 대통령과 일반 시민을 인터넷으로 연결시키는 이른바 '오바마 2.0' 플랜을 추진 중이다. 네티즌들이 정보를 자유롭게 가공·생산·공유하는 '웹2.0'처럼, 버락 오바마(Obama) 대통령 당선자가 인터넷을 통해 국민과 직접 쌍방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오바마 당선자는 당선 이틀 만인 6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공식 사이트를 개설했다. 국민들은 이 사이트에 자유롭게 정책 의견을 올릴 수 있고, 정부 공무원직에 지원서도 낼 수 있다. 자신의 이메일 주소와 이름을 사이트에 등록하면, 오바마나 인수위가 전달하는 공지사항을 쉽게 받아 볼 수 있다. 오바마는 백악관 홈페이지도 전면 개편해 네티즌들의 접근을 더 쉽게 할 계획이다.

오바마는 이렇게 구축된 네티즌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 정치'에 적극 활용할 생각이다. AP통신은 "오바마는 백악관에서의 정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할 것"이라며 "기존 대통령이 구(舊)미디어(신문·방송)에 입장을 설명했던 것과 달리 오바마는 미디어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인터넷으로 수백 만의 미국 국민들에게 호소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직접 호소는 유용한 대(對)의회 압박수단으로 쓰이게 될 것이라고 워싱턴포스트(WP)는 내다봤다. 인수위에서는 이러한 인터넷 정치 전략을 '오바마 2.0'이라 칭하고 있다.

사실 오바마가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인터넷으로 획득한 막강한 자금력과 조직력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1개월간의 선거운동 기간 동안, 오바마는 기부자 310만 명으로부터 6억6000만 달러라는 엄청난 선거자금을 모았다. 이는 인터넷으로 입금한 '풀뿌리' 소액 기부금이 쌓인 결과다. 게다가 오바마 캠프의 웹사이트나 페이스북(미 커뮤니티 사이트), 유튜브(동영상 사이트) 등으로 연결된 지지자들은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휴대폰 메시지를 뿌리는 등 주요 순간마다 탄탄한 조직력을 발휘했다.

조 트리피(Trippi) 민주당 전략가는 "존 F 케네디(Kennedy) 전 대통령이 텔레비전을 활용한 첫 대통령인 것처럼, 오바마는 인터넷으로 수백만의 미국인과 연결되는 첫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WP에 말했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결집한 지지자들이 한번 돌아서면 더 큰 위험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지난해 오바마도 테러용의자에 대한 감청을 허가하는 법률에 동의했다가 지지자 수천 명이 그의 웹사이트로 몰려가 비난의 글을 쏟아부었던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