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의 삭막한 풍경이 나그네 마음을 더욱 외롭게 하였다'의 '삭막'을 읽을 줄 안다고 뜻을 아는 것은 아니니 '索漠'이라 옮긴 다음에 차근차근 풀이해 보자.
索자는 두 손으로 노끈이나 새끼 따위를 꼬는 모양이 변화된 것으로 '새끼줄'(a straw rope)이 본래 의미였다. 후에 '꼬다'(twist) '쓸쓸하다'(desolat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찾다'(hunt up)라는 뜻으로 쓰일 때에는 [색]이라 읽는다.
漠자는 물이 없어 생긴 '모래벌판'(a desert)을 뜻하는 것이었으니 '물 수'(水)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莫(없을 막)은 발음과 의미를 겸하는 요소다. '넓다'(spacious; roomy) '아득하다'(far-off; distant)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索漠은 '쓸쓸하고[索然] 아득함[漠]'이 속뜻인데, '잠깐 잊어버려 생각이 아득함'을 이르기도 한다. 송나라 때 한 정치가 가로되, '외로운 사람을 학대말고, 거들먹거리는 권세가를 두려워 말라!'(無虐[경]獨而畏高明 - 王安石)
▶ 다음은 '연락'
입력 2008.04.09. 21:38업데이트 2008.04.09. 21:38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