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기한 동물/히기한 현상'의 '히기'가 잘못 쓰여진 것임을 알자면 '稀貴'란 두 한자의 독음을 모르면 안 되니….

稀자는 벼의 싹이 '드문드문하다'(sporadical)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벼 화'(禾)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성기다'(sparse)는 뜻인 希(희)는 발음과 의미를 겸하는 요소다. 후에 '드물다'(rare) '묽다'(watery; washy)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貴자는 '비싸다'(expensiv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돈 패'(貝)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윗부분의 것은 臾(잠깐 유)가 잘못 변한 것인데, 이 경우에는 발음요소였다고 한다. 후에 '귀하다'(uncommon)는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稀貴는 '드물고[稀] 진귀(珍貴)함'을 이른다. 시작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나, 완수는 아무나 할 수 없다. 옛 선현 왈, '시작을 잘하는 이는 많지만, 끝마무리를 잘 하는 이는 드물다.'(有善始者實繁, 能克終者蓋寡 - '貞觀政要').

▶ 다음은 '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