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서는 최근 부권과 관련한 남성단체들이 '모든 신생아에 대해 친자확인 검사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해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동거 커플이 급속 확산된 탓인지 10년전에는 10명중 1명에 불과하던 친자불일치가 요즘은 4명중 1명꼴로 친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돼 충격을 주고 있다.
평소 얌전한 나라로 알려진 뉴질랜드에서는 재작년 'DNA 친자 검사를 부인 몰래 의뢰하는 뉴질랜드 남자들이 급증한 가운데, 의뢰자중 30%가 남의 자식으로 나타나 충격이었다'는 보도가 뉴질랜드를 강타했다.
법규제가 심한 유럽에서는 친자의뢰자중 약 5% 정도만이 친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요즘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
프랑스 르몽드지에 따르면 판사 허락없이 친자확인을 하면 1년 징역을 받는 프랑스의 경우 최근 딴 나라에 몰래 의뢰하는 친자확인이 급증한다.
연 5만건 이상의 친자확인을 처리하는 호주의 'DNA 솔루션' 업체에 따르면 2000년 이후 프랑스인의 의뢰 건수는 65%로 급증, 지난해 8000건을 돌파했다. '내 아이일까 아닐까?'라는 친자확인 광고가 난무하는 독일에서는 아버지와 아이의 침을 발라 보내면 72시간 이내에 친자확인을 해준다.
중국은 요즘 친자확인 신흥 급증국이다.
상하이 이스턴모닝뉴스에 따르면 중국 저장성의 경우 친자의뢰자가 해마다 40~50%씩 급증, 건당 1000위안(약 13만원)인 DNA 검사가 졸지에 유망 사업분야로 떠올랐다.
또 중국 스창바오지에 따르면 베이징의 한 유명 업체의 경우 2004년 600여건에 불과하던 DNA 친자검사가 2006년 4000여건으로 폭증했다. 중국내 감정회사가 137곳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해마다 수십만건에 달한다.
중국은 검사 후 친자가 아닌 것으로 밝혀지는 빈도가 아주 높아 더 큰 문제. 화다팡루이 DNA 업체의 경우 2005년 22.6%가 친자가 아니었으나, 2006년에는 28%로 뛰었다.
이에 대해 중국과학원의 한 관계자는 '이 정도는 약과'라며 '특히 농촌지역 의뢰인들의 경우 최소 절반이 친자식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혀 파장을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