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문원 이지딥논술연구소장

‘레이’는 2004년 6월 74세로 생을 마감한 미국 팝음악계의 전설적인 뮤지션 레이 찰스(Ray Charles Robinson, 1930~2004)의 삶을 그린 전기 드라마이다.

조지아 주의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레이 찰스(제이미 폭스 분)는 어릴 적부터 교회에서 찬송가를 접하고, 동네 블루스 음악가에게 피아노를 배운다. 어린 시절 녹내장을 앓기 시작해 7살 때 완전히 시력을 잃는다. 하지만 어머니의 엄한 교육으로 예민한 청각을 터득하여 세상에 맞서는 법을 배운다. 맹인학교에서 음악에 심취한 레이 찰스는 졸업 후 음악계에 발을 들여놓는다. 라이브 바에서 일하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접하고, 밴드들과 함께 연주하기 시작한다. 18세가 되던 해인 1948년, 가수 겸 피아노 연주자로 일하기 위해 혈혈단신 시애틀로 향한다. 레코드를 제작하고 순회공연을 펼치는 동안, 그의 음악은 높은 인기를 얻기 시작한다.

1960년, 그는 인종 차별로 백인과 흑인의 좌석이 구분되어야 하는 클럽이나 호텔에서는 과감하게 공연을 취소한다. 이 행동으로 재정적으로 큰 손해를 보았으며 공연을 취소했던 조지아 주에서는 평생 동안 공연 금지 명령을 받았다.

영화 속에는 레이 찰스의 여러 음악이 사용되고 있다. ‘I’ve Got a Woman’은 가스펠에 R&B를 혼합하여 소울(Soul)이라는 형태의 음악을 탄생시킨 노래다. ‘Drown in My Own Tears’는 영혼을 뒤흔드는 다운비트의 형식으로 가슴을 쥐어짜는 느낌을 준다. ‘What’d I Say’는 당시 관능적인 음악성 때문에 방송이 금지되기도 했다.

‘Hit the Road Jack’은 백 코러스 중 애인 마지 헨드릭스가 레이에게 제발 떠나달라는 가사를 애원하듯 노래하고 있다. ‘Unchain My Heart’는 짝사랑하는 마음을 알아달라고 간절히 애원하는 남자의 마음을 노래한 펑키풍의 정열적인 노래이다. ‘I Can’t Stop Loving You’는 돈 깁슨이 부른 전통 컨트리 음악을 레이 찰스의 정열적인 음악을 가미해 새롭게 창조한 곡이다.

레이 찰스는 40년 동안 히트 앨범을 만들었으며, 그래미상을 수상하고,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엔터테이너가 되었다. 그리고 1979년 조지아 주는 그에게 공연을 금지시킨 것을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Georgia on My Mind’를 조지아 주의 공식 노래로 선포하는 장면이 나오면서 음악과 함께 영화는 끝난다.

현대인들은 대중문화의 홍수에 눈과 귀를 내맡기고 있다. 대중매체의 발달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시켜 대중문화 성립의 기반이 되었다. 영화나 방송, 음반처럼 대중매체를 통해 생산되는 문화적 산물들이 대중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하기도 한다.

대중문화에서 대중매체의 영향력이 커졌다는 것은 문화를 향유하는 층이 넓어졌다는 문화 민주주의의 의미도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대중문화가 이윤 추구를 위한 대중매체의 상품으로 전락했다는 의미도 있다. 대중문화 부정론자들은 대중문화가 아노미(가치관의 혼돈)를 발생시켜 사회적 혼돈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대중들의 현실 적응을 어렵게 하고 현실 도피나 현실 부정 등 소극적 성격을 띠게 하는 역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대안으로 전통문화와 미풍양속의 복구 계승을 제시한다.

대중문화 찬성론자들은 대중문화가 고급문화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로 인해 문화적인 민주화를 이룰 수 있다고 믿는다. 산업화 사회에서 대중들이 갖는 긴장과 좌절 상태를 대중문화가 해소시키는 순기능적 작용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현대 사회에서 대중문화의 위력은 엄청나다. 대중문화는 대중에게 그저 즐거움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자본주의 사회의 지배적인 문화라 할 수 있는 대중문화는 당연히 자본주의 대량 생산 체제와 관련이 있다. 대량 생산 체제는 원가 절감과 이윤 증대를 수반하는데, 이는 문화적 생산물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대중문화는 상품으로서의 성격을 갖게 된다. 대중문화의 부정적 속성을 인식하고 항시 그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아야 대중문화가 조장하는 비주체적인 삶의 양식에 무방비로 휩쓸리지 않고 주체적으로 살 수 있을 것이다.

>> 더 생각해볼 거리

①현대사회에서 대중음악을 비롯한 대중문화의 위력과 관련하여 배우 ‘배용준’, 가수 ‘비’ ‘보아’를 볼 때 한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②클래식을 들을 때와 대중음악을 들을 때의 느낌은 어떻게 다른가?

③클래식과 대중음악의 접목인 크로스오버 음악이 문화 발전에 시사하는 바를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