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오전 9시 멕시코 남부 유카탄주 메리다시 외곽의 애니깽 농장. 35도가 넘는 찌는 듯한 더위 속에서 탈북 청소년 8명과 한국 청소년 8명 등 16명이 땀방울을 흘리며 애니깽 잎을 자르고 있었다. 이들은 KBS가 주최하고 조선일보가 후원한 ‘남북청소년 역사탐험대’ 대원들. 약 100년 전, 나라 잃은 설움을 삭이며 조국을 떠난 애니깽 조상들의 이동경로(멕시코, 쿠바 등)를 추적해 그들이 살아온 흔적을 살펴보고, 그 후손들을 만나는 체험 행사(8월 2~20일)에 참가했다.

긴 칼과 낫으로 열심히 애니깽 잎을 자르려 했지만 단단한 잎은 뜻대로 잘리지 않았다. “아얏” 구지연(여·21·한국외대 2년)씨가 날카로운 가시에 찔렸다. 여기 저기서 “아얏! 나도 찔렸어”라는 소리가 들려왔다. “너무 힘들어 쓰러질 것 같아요”라고 이한림(여·16·경화여고 2년)양은 더위에 지친 목소리로 하소연했다.

▲ 13일 오전, 멕시코 남부 유카탄주 메리다시 외곽의 애니깽 농장에서‘남북청소년 역사탐험대’대원 이한림(16)양이애니깽 잎을 자르고 있다.

아버지가 북한 특수부대 출신이라는 김혁(26)씨는 흘러내리는 땀을 연방 훔치며 “(애니깽 조상들이) 이런 험한 일을 하루에 15시간씩 했다는 게 믿어지지 않는다”며 “이곳에서 고생했을 조상들이 생각나 눈물이 난다”고 말했다.

탈북 후 한겨레학교에 다니고 있는 최원일(20) 대원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한국인임을 잃지 않고 푼돈을 모아 독립자금을 보냈던 우리 조상들을 꼭 기억하겠다”고 말했다.

이 행사를 담당한 조휴정 KBS 라디오 프로듀서는 “남북 청소년들이 직접 100년 전 조상들의 고난의 역사를 체험해 본다는 취지로 탐험대를 구성했다”고 말했다. 이번 역사탐험대는 현대모비스, SK에너지, 한국암웨이, C&M, 트렉스타 등이 협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