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국방부의 해군기지 건설계획을 수용하기로 하고, 후보지를 서귀포시 대천동 강정마을로 결정했다. 여론조사를 통해 주민 동의를 얻어 군사 시설 입지를 결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다른 지역 군사 관련 시설 이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김태환 제주도지사는 14일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도민 1500명과 후보지로 거론된 3개 읍·면·동 주민 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제주해군기지 건설에 대한 도민 여론조사에서는 찬성이 54.3%로 반대 38.2%보다 높게 나왔다.
또 후보지 가운데에서는 대천동(강정마을)이 찬성 56%, 반대 34.4%로 다른 후보지에 비해 찬성 비율이 가장 높았다. 안덕면(화순리)은 찬성 42.2%, 반대 49%로 반대가 많았으며, 남원읍(위미1·2리)도 찬성 36.1%, 반대 53.9%로 반대 여론이 우세했다.
여론조사는 제주도로부터 위탁받은 사단법인 제주지방자치학회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실시됐다.
국방부는 "제주도의 제주해군기지 사업 유치 동의를 환영하며, 대천동(강정마을)에 세계 최고의 미항(美港)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서귀포시 대천동 강정마을 윤태정(52) 회장은 "국방부가 약속한 것처럼 마을 발전과 맞물릴 수 있는 방향으로 빨리 추진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조만간 국방부와 기지건설에 따른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강정마을을 중심으로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 행정·재정적으로 대폭 지원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기본계획 수립과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2009년 기지건설 공사에 들어가 2014년까지 7000�급 이지스함 등 군함 20여 척이 정박할 수 있는 12만 평 규모의 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또 해군 부사관급 이상 2200여 명과 가족 5000여 명 등 최소 7200여 명이 상주할 수 있는 배후도시도 조성된다. 국방부는 기지건설에 따른 지원책으로 알뜨르 비행장 양여, 지역개발사업 500여억원, 복합휴양시설 700억원 지원 등을 밝혔다. 김 지사는 정부 차원에서 도민의 유치 결정을 존중하고, 국방부가 밝힌 지원책 이외의 추가 지원책을 요구하고 있다.
제주해군기지는 미국의 하와이나 괌 기지와 같은 해상 전략요충지로 구상됐다. 해군측은 우리나라 최남단 마라도 서남쪽 149km 지점의 이어도가 있는 남중국해역에 대한 방어 차원에서 제주도 남쪽 해안에 기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입력 2007.05.15. 01:01업데이트 2007.05.15. 01:02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