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 선정을 둘러싸고 특혜 시비가 끊이지 않는다'의 '특혜'는? ①特惠 ②特蕙 ③特慧 ④特解. '特惠'란 두 글자는?

特자는 '황소'(bull)를 뜻하기 위해서 '소 우'(牛)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寺(절 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다. 발음요소로 보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의미요소로 볼 근거도 희박하다. 요즘은 본뜻으로 쓰이는 예가 거의 없고, '유달리'(especially) '매우'(extremely)란 뜻으로 많이 쓰인다.

惠자는 '어진 사랑'(benefit)을 뜻한다. 사랑에는 몸보다 마음이 중요하니 '마음 심'(心)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상단의 것은 발음요소라는 설과 의미요소라는 설로 양분되고 있다. 후에 '베풀다'(bestow)는 뜻으로도 쓰였다.

特惠는 '특별(特別)히 베푸는 혜택(惠澤)'을 이른다. 남들에게 믿음을 얻자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 나라 때 한 학자의 말을 참고해보자. '입으로만 은혜를 베푸는 사람에겐 믿음이 덜 간다.'(口惠之人鮮信 - 韓?의 '韓詩外傳')

▶다음은'공상' [정답 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