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어와 인터넷 용어, 사전에 오를 자격이 있는가'에 대한 학생 글
1)유행어와 인터넷용어, 사전에 오를 자격이 있는가?
시대가 지날 때마다 생겨나는 것은 무엇일까? 새로운 문화, 새로운 인기스타, 새로운 유행패션스타일 등 정말 많은 것들이 있다. 2)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마도 '새로운 유행어'가 아닐지 싶다. 3)새로운 유행어는 시대가 지날 때마다 새롭게 생겨난다. 4)그렇다면 유행어는 어디에서 만들어질까?
유행어는 주로 TV에서 만들어진다. 특히 개그 프로그램이나 예능 프로그램에서, 웃고 즐기자는 의도로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안 되겠네?','그까이꺼 대-충','아 왜~' 등도 이런 유행어에 속한다.
요즘은 많은 현대인들이 이런 유행어나 인터넷용어들을 실생활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저 웃고 즐기자는 의도로 사용한다면 아무 문제가 없겠지만, 5)심지어는 유행어와 인터넷 용어들을 국어사전에까지 오르게 하자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어 문제가 되는 것이다. 6)일단 유행어와 인터넷용어들은 표준어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 마음대로 바꿀 수 있고, 유행이 지나면 금방 잊히는 것이다. 금방 잊히고, 사용하지 않는 용어를 모조리 국어사전에 오르게 한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적어도 한달에 한 번씩은 국어사전을 개편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이 신조어들은 사전에 오를 수 있는 7)자격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 사전에 오를 수 있는 말은 기본적으로 어법에 맞고 근거가 확실하며 온 겨레가 사랑하는 말이어야 하지만 유행어와 인터넷용어들은 이것들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다.
유행어와 인터넷 용어들이 재미와 즐거움을 줄 수는 있다. 하지만 많이 쓰는 용어라고 해서 아름다운 우리 한글이 담겨 있는 국어사전에까지 오르게 한다는 건 옳지 않은 일인 것 같다. 유행어처럼 재미있는 말은 아니지만 8)우리 한글에도 유행어를 대신할 말들이 많이 있다.
▶학생글 첨삭지도
이지현 어린이는 짧은 글이지만 자기의 주장을 알맞은 근거를 내세워 논리적으로 펼쳐나갔어요. 특히 논제를 끌어내는 서론 부분이 다른 학생들과 다르게 참신하였습니다.
다만 군데군데 문장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낱말을 쓴 것이 눈에 띕니다. 정확한 낱말 하나를 고르기 위해서는 사전을 찾고 또 찾고, 앞뒤 문장을 읽어가며 적합한 낱말을 골라 쓰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1)제목이 글의 주제와 똑같네요. 자신의 의견을 보다 명확히 나타낼 제목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2)'하지만'이 꼭 들어가야 했나요? →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유행어'이다.
3)앞의 '새로운'과 뒤의 '새롭게'가 중복 표현되었어요. → 유행어는 시대가 지날 때마다 새롭게 생겨난다.
4)'유행어가 어디에서 만들어지는 것'에 대한 새로운 논제를 펼치는 것이므로, 줄을 바꾸어야겠어요.
5)'심지어는'→ '심지어'의 정확한 뜻은 '더욱 심하다못해 나중에는'입니다.
6)이 문장부터는 유행어와 인터넷 용어가 왜 사전에 오를 자격이 없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주는 부분이므로, 한 줄 바꿔서 쓰는 것이 좋아요.
7)'조차'는 다른 무엇인가 포함되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8)유행어를 대신할 말이 많이 있다. → 예를 들어 어떤 말들인가요?
(안선모 인천청량초등학교교사·동화작가)
■이번주 논제
어떻게 하면 학교폭력을 없앨 수 있을까?
①학교 안에서 혹은 학교 밖에서 괴롭힘이나 폭행을 당한 적이 있었나요?
②괴롭힘을 당할 때 어떤 기분이 들었나요?
③학교 안에서 혹은 학교 밖에서 약한 사람을 괴롭힌 적이 있었나요?
④다른 사람을 괴롭힐 때 기분은 어떠했나요?
⑤TV나 영화, 만화에서 약자를 괴롭히는 장면이 나
오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멋있다는 생각이 드나요?
⑥폭력이 나오는 만화나 영화를 보고 나면 또 보고 싶은가요? 또 보고 싶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⑦학교 안이나 밖에서 폭력이 많아진 원인은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하나요?
⑧남을 괴롭히거나 때리는 것은 왜 나쁠까요?
⑨만약 남을 괴롭히거나 때리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면 학교나 사회는 어떻게 될까요?
⑩학교 폭력을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