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과 풍류의 고장/풍류를 알다/풍류를 즐기다'의 '풍류'는? ①風留 ②風琉 ③風硫 ④風流. '風流'란?

風자는 凡(범)과 ?(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凡(범)은 발음요소였다. '벌레 충'(?)이 의미 요소로 쓰인 것에 대하여는 구차한 설들이 많으나, 취할 만한 것이 없다. 주로 '바람'(wind)을 뜻하는 것으로 쓰이며, '습속'(customs) '기세'(spirit) '경치'(scene) '모습'(looks)을 나타내기도 한다.

流자의 원형은 아이[子]가 물살에 휘말려 떠내려가는 모습으로, '떠내려가다'(be swept away)가 본뜻이다. 오른편 요소가 발음도 겸하는 것임은 硫(유황 류)와 琉(유리 류)의 경우를 통하여 알 수 있다. '흐르다'(flow)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風流는 '멋스럽고 풍치(風致)가 흐름[流]'이 본뜻인데, '멋스럽게 노는 일'을 이르기도 한다. 일찍이 순자(荀子) 가로되, '윗물이 맑으면 아랫물도 맑고,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흐리다.'(源淸則流淸, 源濁則流濁)

▶ 다음은 '욕실' [정답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