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김완기 인사수석은 2일 열린우리당 유시민 의원의 보건복지부 장관 임명 가능성에 대해 대통령은 유 의원이 능력도 있고 특정 계층의 대변자라서 복지부 장관에 적임이라고 판단한다는 뜻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국민 생각은 반대다. 국민들의 유 의원에 대한 기억은 첫 국회 登院등원 때 얄궂은 옷을 입고 나타나 화제를 불러일으킨 그의 유별난 興行흥행 감각에 대한 것뿐이므로 보건복지 분야에 대한 능력 여부를 판단할 길이 없다. 그러나 유 의원이 특정 계층 대변자이기 때문에 복지부 장관에 적격이라는 것은 문제다. 국민들은 그것은 유 의원의 복지부 장관 不適格부적격 사유는 될지언정 적임자라는 이유는 될 수 없다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보건복지 행정은 복지정책의 대상자 범위, 대상자에게 지원할 복지의 규모와 성격, 거기 필요한 재원을 누가 부담하느냐의 문제 등 계층 간의 이해가 첨예하게 갈리는 분야다. 그런 일을 '특정 계층'을 대변하는 정치인에게 맡기면 어떤 일이 벌어지겠는가.

그러나 국민 대다수와 동료 여당 의원이 유 의원에 대해 고개를 설레설레 흔드는 보다 근본적 이유는 그가 예측 불허의 인물, 즉 인격의 統一性통일성과 정치적 일관성에 의문을 갖게 하는 인물이라는 데 있다. 유 의원은 이라크 파병 문제가 제기됐을 때 파병을 반대하다가 대통령이 파병을 결정하자 "파병철회는 페스트고, 파병 강행은 콜레라다. 페스트는 피해야 한다"고 이상한 말로 입장을 바꿨다. 그리고 "한나라당이 반대하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가치 있다"고 말해 오던 유 의원은 대통령이 한나라당과 연정을 추진하자 "한나라당과 연정은 선진화 정치를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180도 말을 바꿨다. 이렇게 예측 불가능한 인물에게 국가 예산의 가장 큰몫을 차지하는 복지 행정을 어떻게 맡길 수 있겠는가. 그러고도 국민들이 편히 잠을 잘 수 있겠는가.

여당의 동료 의원들이 "유 의원이 입각하면 당이 깨질 수도 있다"고까지 반발하는 이유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유 의원 스스로 "내 면전에서 才勝薄德재승박덕이라는 평을 해준 사람이 여럿 있었다"고 털어놓으면서도 그런 정치 스타일을 바꾸라는 충고를 "나는 지금보다 중요한 정치인이 되고 싶지 않다"며 거부해 왔다. '유시민 문제'로 이렇게 시끄러운 상황에서 동료 의원 누구 하나 유 의원을 감싸는 사람이 없는 걸 보라. 이런 유 의원이 보건복지부 본부 인원 585명, 26개 소속기관 2660명, 장관이 이사 임명권을 지닌 산하단체 3곳 1만5000명이라는 거대 조직을 과연 제대로 이끌어 갈 수 있을까. 이 정권이 '장관이란 아무나 하는 것'이라는 인사원칙을 다시 고집한다면 할 말이 없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