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가 회장으로 취임하자 각처의 사람들이 경하의 편지를 보내왔다’의 ‘경하’는?
①傾河 ②輕霞 ③敬河 ④慶賀.
답은 ④. '慶賀'에 대해 알아보자.
慶자는 '축하해줄 만한 기쁜 일'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었다. '사슴 록'(鹿)의 생략형에 '마음 심'(心)이 조합된 것에 '발 지'(止)의 변형인 (치)가 합쳐진 것이다. '예물'[鹿], '마음'[心], '동참'[?]이 축하의 3대 요소라 생각했는가 보다.
賀자는 '돈'을 뜻하는 貝(패)와 '더하다'는 뜻의 加(가)를 합친 것이다. '기쁨을 함께하다'는 뜻을 그렇게 나타낸 것이 매우 흥미롭다. '더할 가'(加)는 발음요소라는 설도 있다.
慶賀(경:하)는 '경사(慶事)스러운 일을 치하(致賀)함'을 이른다. 마음가짐은 인품에 따라 달라진다. '남에게 경사가 있으면 질투하는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되며, 남에게 재난이 있으면 좋아하는 마음이 생겨서는 안 된다'(人有喜慶, 不可生?忌心; 人有禍患, 不可生喜幸心 - '治家格言').
▶ 다음은 ‘망라’
(全廣鎭·성균관대 중문학과 교수·www.ihanj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