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은 ○○이라 햇볕도 잘 들고 따뜻하다'의 공란에 적절한 것은? ①北向 ②南向 ③東向 ④西向. 답은 ②번. 쉽다고 그냥 넘어가지 말고, '南向'에 대해 샅샅이 훑어보자.
南자는 방울 종류의 악기를 매달아 놓은 모양에서 유래됐다. 그 악기는 대개 남쪽에 진열해 놓았기에 '남쪽'을 뜻하는 것으로 쓰였다고 한다. 임금은 신하의 조회를 받을 때 항상 남쪽을 향하여 앉았기에 '임금'을 뜻하는 것으로도 쓰인다.
向자는 아득한 옛날 반지하 움집의 창문 모양을 그린 것으로 '창문'이 본래 의미였다. 그것은 일정한 방향이 있었기에 '방향' '향하다'로 확대 사용됐다.
南向은 '남쪽으로 향함' 또는 그 방향을 이른다. '남향'은 따스함이 연상된다. 따스한 봄날의 정경을 기막히게 잘 그려낸 시 한 구절을 소개해 본다. '따스한 날 맞은 꾀꼬리, 목소리 곱고 /임 만난 사람, 웃음에 입 못 다무네!'(鶯逢日暖歌聲滑, 人遇風情笑口開 - 명나라 湯顯祖).
▶ 다음은 '돈오'
(全廣鎭·성균관대 중문학과 교수·www.ihanja.com)
입력 2005.04.01. 18:57업데이트 2005.04.01. 19:07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