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를 생활문화로 만들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가정 독서문화가 살아나야 한다. 그 다음에 학교 독서문화가 살아나야 하고, 나아가 사회 여론과 제도가 이를 이끌어주고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
어린이들한테 좋은 책을 끊임없이 찾아서 소개하고, 좋은 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는 독서문화 환경을 만들어야 하고, 부모와 교사들이 독서교육에 깊은 관심을 갖고 적극 지도해야 한다.
가정과 학교에서 하루에 한 번, 단 10분이라도 책을 읽는 시간을 생활문화로 만들면 좋겠다. 어린이들한테만 읽으라고 하지 말고 부모와 교사도 어린이와 함께 10분이고 20분이고 꾸준히 읽는 습관을 기른다면 우리 국민의 독서력이 엄청나게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하루에 10분씩만 꾸준히 읽어도 일주일에 한 권 이상을 읽을 수 있을 것이고, 한 달에 4권 이상은 읽을 수 있을 것이며 1년이면 50권 가까이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관광부가 한국출판연구소에 의뢰해 조사 발표한 2004년 국민독서실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어른들의 평균 독서량이 11권이라고 하니 그 5배를 높일 수 있다.
흔히 어린이 책은 수준이 낮은 책으로 어린이만 읽는 책이라고 생각하는 어른들이 있다. 그러나 어린이 문학책은 어른들이 같이 읽어도 충분히 감동과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어린이 지식 책도 좋은 교양도서가 된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어린이 책을 함께 읽는 어른이 되자는 운동을 펼치고 있는 어린이도서연구회 '동화읽는어른' 모임 회원들 가운데서는 어린이 책을 읽으면서 인생을 새롭게 볼 수 있게 되었고, 삶이 훨씬 더 풍요로워졌다고 증언하는 어머니와 교사들이 많다.
초등학생들한테 올해 권장하는 책을 학년별로 골라보았다. 달마다 두 권은 추천도서 중에서 읽고, 두 권은 부모와 자녀가 손잡고 서점에 나가 직접 골라서 읽기를 권하고 싶다. 소개하는 책은 그림책, 옛이야기, 우리나라 창작동화, 다른 나라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선정하면서 동시, 어린이 글모음, 역사 이야기, 인물 이야기, 과학과 환경 이야기, 통일 이야기, 평화 이야기, 문화 이야기를 한두 권씩 고른 것이다.
그림책을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넣은 것을 이상하게 여기는 어른들이 있을 수도 있는데, 정말 좋은 그림책은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모두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좋은 그림책은 어릴 때 읽고, 결혼해서 아이들을 기르면서 읽고, 노인이 되어서 한 번 더 읽는 책이다. 인생에서 세 번 만나야 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2005년 올해 독서문화가 한층 높아지면 좋겠다. 그 길은 어린이들한테만 책을 읽으면 좋다고 말하지 말고 함께 읽는 어른이 늘어나는 것이다.
아침마다 수업 시작 전에 단 10분이라도 교사와 어린이들이 조용히 책을 읽는 교실이 늘어나고, 저녁마다 잠들기 전에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게임을 끄고 자녀들 손을 잡고 책을 읽는 부모들이 늘어나고, 공공도서실에 식구들이 손 잡고 책을 빌리러 오는 가정이 늘어나는 것. 그 모습이 곧 우리 사회의 희망이다.
(이주영 사단법인 어린이도서연구회 이사·서울송파초등학교 교사 jyl0301@hanafos.com)
--------------------------------------------------------------------------------
초등 학년별 읽어야 할 책 목록
>>>1학년
그림책·옛이야기·동화 *노란 우산(류재수/재미마주) *강아지 똥(권정생/길벗어린이) *백두산 이야기(류재수/통나무)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조대인/보림) *반쪽이(이억배/보림) *오른발 왼발(토미 드 파올라/비룡소) *색깔이 만든 집(엘리자베스 바그너/해오름) *루이즈는 나쁜 말을 해요(크리스티앙 루흐트/너른들) *큰도둑 거믄이(이철수/분도) *토끼불알을 만진 노루(어린이도서연구회/우리교육) *입말로 들려주는 우리 겨레 옛이야기(이향숙/영림카디널) *똥떡(이춘희/언어세상) *고양이(현덕/길벗어린이) *하느님의 눈물(권정생/산하) *감자를 먹으며(이오덕/낮은산) *저만 알던 거인(오스카 와일드/분도) *변신(로렌스 데이비드/보림)
시와 노래 *꽃이파리가 된 나비(정지용 외/우리교육) *딱지 따먹기(백창우/보리)
어린이 글모음 *튀겨질뻔 했어요(박문희/고슴도치) *내가 처음 쓴 일기(윤태규/보리)
역사이야기 *단군신화(이형구/보림)
자연·환경이야기 *개구리가 알을 낳았어(이성실/다섯수레) *안녕, 난 개미야(스티브 파커/바다출판사)
>>>2학년
그림책·옛이야기·동화 *사물놀이 이야기(곽영권/사계절) *뽀끼뽀끼 숲의 도깨비(이호백/재미마주) *아씨방 일곱동무(이영경/비룡소) *모기는 왜 귓가에서 앵앵 거릴까?(보림) *우리 그림자 바꿀래?(마리암 프레슬리/국민서관) *눈사람 아저씨(레이먼드 브리그스/마루벌) *옛날에 어떤 생쥐가(분도) *고릴라(앤터니 브라운/비룡소) *까막나라에서 온 삽사리(정승각/초방) *세상이 생겨난 이야기(김장성/사계절) *오소리네 꽃밭(권정생/길벗어린이) *까막눈 삼디기(원유순/웅진닷컴) *대통령의 눈물(김원석/문원) *짜장 짬뽕 탕수육(김영주/재미마주) *사랑을 나누는 곰 보로(라파엘라 마리아 론디니/서광사) *내 작은 친구(M. 그리페/성바오로) *바구니 달(토베 얀손/베틀북) *수호의 하얀말(오츠카 유우조/한림) *아벨의 섬(윌리엄 스타이그/다산기획)
동시 *시계가 말을 걸어서(민현숙/파랑새어린이)
어린이 글모음 *새롬이와 함께 일기 쓰기(이성인/보리)
인물이야기 *새처럼 날고 싶은 화가 장욱진(김형국/나무숲)
자연·과학이야기 *공룡들의 지구 대탈출(하네다 세츠코/진선) *어, 씨가 없어졌네요!(나탈리 바인제플랜/파랑새어린이)
>>>3학년
그림책·옛이야기·동화 *산골총각(백석/너른들) *애벌레의 모험(가르트 루흐트/풀빛) *무지개꽃이 피었어요(마이클 그레니엣/국민서관) *우리에게 사랑을 주세요(존 버닝햄/마루벌) *쇠를 먹는 불가사리(정하섭/길벗어린이) *바보 온달(이현주/우리교육)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김목/산하) *귀머거리 너구리와 백석 동화나라(백석/웅진닷컴) *떡배단배(마해송/너른들) *버들붕어 하킴(박운규/현암사) *돌아온 진돗개 백구(송재찬/대교) *잔디 숲속의 이쁜이(이원수/웅진닷컴) *안내견 탄실이(고정욱/대교) *말더듬이 원식이(김일광/우리교육) *꽃피우는 아이 티투스(모리스 드뤼옹/길벗어린이) *조금만, 조금만 더(존 레이놀즈/시공주니어)
동시 *지구라는 보자기(조월례/오늘어린이)
어린이 글모음 *새끼 토끼(김녹촌/온누리) *엄마의 런닝구(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보리)
인물이야기 *할아버지 약손(한수연/영언문화사) *김정호, 세상을 지도 안에(오민석/어린이중앙)
과학·환경이야기 *똑딱 똑딱(제임스 덴버/그린북) *어린이 파브르 곤충기(고바야시 세이노스케/을파소)
>>>4학년
그림책·옛이야기·동화 *박씨 부인(정출헌/한겨레아이들) *숲속 나라(이원수/웅진닷컴) *불쌍한 삼형제(이태준/숲속나라) *물고기 세상(마해송/한마당) *종이밥(김중미/낮은산) *지붕 위 꾸마라 아저씨(조대현 외/문공사) *마지막 박쥐 공주 미가야(이경혜/문학과지성사) *딱친구 강만기(문선이/푸른숲) *남북공동초등학교(신천희/문원) *언청이 순이(서정오/지식산업사) *수일이와 수일이(김우경/우리교육) *마사코의 질문(손연자/푸른책들) *고물장수 로께(호셉 발베르두/푸른나무) *무민골짜기에 나타난 혜성(토베 얀손/소년한길) *모두 다 생명이에요(하이타니 겐지로/양철북) *동물과 대화하는 아이 티피(티피 드그래/이레)
동시 *별을 사랑하는 아이들아(윤동주/푸른책들)
어린이 글모음 *저 하늘에도 슬픔이(이윤복/산하)
역사이야기 *역사야 나오너라(이은홍/푸른숲)
인물이야기 *루이 브라이(마거릿 데이비스/다산기획)
과학·환경이야기 *열려라 거미나라(임문순/지성사) *하늬와 함께 떠나는 갯벌여행(백용해/창조문화)
평화이야기 *고마워요, 지뢰 대신에 꽃을 주세요(야나세 후사코/청어람미디어)
문화이야기 *알록달록 우리 옷(오명숙/문학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