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제주 4·3 사건’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공식 사과하고, 추모사업과 명예회복 등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4·3사건 발생 55년 만에 정부차원의 첫 공식사과이다.

노 대통령은 31일 제주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제주도민과의 오찬에서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대통령으로서 과거 국가권력의 잘못에 대해 유족과 도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무고하게 희생된 영령들을 추모하며 삼가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정부는 4·3 평화공원 조성, 신속한 명예회복 등 위원회의 건의사항이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했다.

노 대통령은 이번 사과가 지난 15일 최종 보고서를 채택한 정부의 ‘제주 4·3사건 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고건·高建 총리)의 건의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상규명위는 사건의 원인을 남로당 무장봉기와 군경의 강경진압이라는 ‘복합적 요인’으로 규정했지만, 사건 성격과 역사적 평가는 새로운 사료나 증거가 나오면 보완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논란’을 정리했다.

그러나 군과 경찰 추천 일부 위원들은 “남로당의 봉기가 무력진압을 초래했다는 증거가 명백하다”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한다”며 사퇴하는 등 보고서 채택과정에서 큰 갈등이 있었다.

4·3사건의 성격에 대해 노 대통령은 “제주도에서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 그리고 1954년 9월 21일까지 있었던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많은 사람이 무고하게 희생됐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내년 4월에 (사과를) 하려 했으나 그때는 선거를 앞둔 시점이어서 적절하지 않아 오늘 정부 입장을 표명하게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