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노동절(勞動節·5월 1일)' 명칭을 둘러싸고
때아닌 '좌우익 논쟁'을 벌이고 있다.
발단은 지난 21일 민노총이 '근로자의 날'로 돼있는 노동절 명칭을
되찾겠다며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이승만(李承晩) 정권은 조직폭력배를
동원해 전평을 깬 뒤 한국노총 전신인 대한노총을 창립하고는 1957년부터
노동절을 대한노총 창립일인 3월 10일로 바꿨다'고 표현한 것이다.
한노총은 22일 "민노총이 노노(勞勞)갈등과 분열을 야기하며 노동절
정신을 훼손하는데 개탄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는 반박 성명을 내면서
"한노총의 전신이 대한노총이면 민노총의 전신은 전평이냐. 사회주의
혁명 노선을 지향하며 극단적 폭력투쟁을 전개한 전평의 운동 노선은
과연 올바른 것이었느냐"고 질문했다.
한노총에 따르면 1945년 11월 5일 설립된 전평은 간부 대부분이
조선공산당 간부를 겸임하고 있을 정도였으며 좌익의 방침에 따라
신탁통치 찬성, 박헌영(朴憲永) 석방, '남조선 정권을 인민위원회로'
등의 정치투쟁을 벌였다는 것이다.
한노총은 한발 더 나아가 "대한노총이 한노총의 전신이라면 민노총에는
'할아버지' 정도가 된다"며 "민노총은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조직이 아니며 민노총도 대한노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