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의 현재의 모습(위)과 미래의 모습


청계천 복원사업이 이명박(李明博) 시장 취임 이후 본격하되고 있다. 이
시장은 취임 다음날 청계천 복원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전담기구인
'청계천 복원 추진본부'를 구성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였다.
추진본부 관계자는 "곧 시정개발연구원에 청계 복개도로·고가 철거와
인근 상인 이주대책 등을 포함한 용역을 맡기는 등 사업추진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시조직으로 운영되는 추진본부는 ▲청계천 복원을 위한 기본계획과
문화재 복원사업, 교통대책 등을 맡는 복원기획반 ▲청계고가 및 도로
철거, 하천수 유입 및 생태복원, 도시계획 및 건설 등을 담당하는
복원사업반 등으로 구성돼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시는 이와 함께 민간전문가 등 외부인사로 구성돼 사업 심의·의결 기구
역할을 맡은 청계천복원 시민위원회를 별도로 구성, 복원사업에 대한
자문과 공청회 개최 등 시민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시민위원회는
시민대표 30명 정도가 참여하는 본위원회와
역사문화·자연환경·건설안전·교통·도시계획·시민의견 등 6개
분과위원회로 구성돼 이달 말까지 인선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특히 시민위원회에는 이 시장이 민간전문가와 함께 공동 위원장을 맡기로
하는 등 사업추진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또 시정개발연구원 내 종합적인
대책을 연구하는 청계천 복원 지원연구단도 구성했다.

이명박 시장은 『2년 정도 기간을 두고 교통혼잡이나 상인 대책 등
우려의 목소리를 충분히 듣겠다』며 『하지만 일단 계획이 수립되면
힘있게 밀고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1일에는 이 시장이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청계천 복개 구조물 내부를 찾았다. 시민들은 이를
청계천 복원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청계천 복원 공사 기간 중 교통혼잡과 인근 상인들의 이주대책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청계천 복원 비용을
3600억원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주변 재개발 비용을 더하면 총 비용이
수십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청계천 복원 사업 추진을 위해 교통혼잡이나 상인
대책, 비용 조달방안 등에 대해 충분한 사전 정비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