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같은 복장에 배에는 TV 화면을 달고 다니는 기괴한 캐릭터'텔
레토비(Teletubbies)' 열기가 전세계적으로 뜨겁다. 우물우물 말도 잘
못하는 틴키 윙키, 딥시, 라라, 포(한국명 보라돌이, 뚜비, 나나, 뽀)
는 일부 어른의 눈에는 이상하기 짝이 없지만 어린이들의 반응은 열광
적이다. 18개월∼4세 유아의 눈높이에 맞춘 텔레토비는 30년 넘게 어린
이 프로 제작에만 몰두해 온 '랙돌 프로덕션' 사장 앤 우드(Anne Wood·
61)여사의 노하우에서 탄생했다. 얼마전 텔레토비 진출이 결정된 일본
에 온 우드 여사와 이메일로 인터뷰를 했다. 텔레토비와 같이 찍은 사
진은 없냐고 묻자 "텔레토비는 텔레토비 랜드(꼬꼬마 동산)에서만 산
다. 사람과 사진을 찍을 수 없다"고 했다.
우드 여사(왼쪽), 오른쪽사진은 전세계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는 텔레토비 4쌍.
/AP자료사진
--텔레토비 모습이 독특한데.
"현대 기술혁명으로 어린이들의 세계는 놀라운 속도로 변하고 있
다.그 변화가 어른의 눈에 잘 띄지 않을 때도 있다. 텔레토비는 '기술+
아기(technological baby)'라고 할 수 있다. TV는 텔레토비가 어린이들
과 의사소통하는 도구이다. 배는 어린이에게 매우 중요한 신체 부위이
다. 어린이들은 늘 자신의 배에 신경을 쓴다. 따라서 TV를 텔레토비의
배에 달기로 결정했다.".
--TV를 너무 강조하는 것은 아닌가.
"어린이의 상상력을 넓히는 데는 좋은 책 못지않게 좋은 TV도 중요
하다. 책을 읽어주는 어른이 없어 TV만 보며 크는 어린이도 있다. 우리
는 어린이 교육에 TV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텔레토비 팬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다. 성공 비결은.
"어린이들의 세계관을 현실에 가깝게 그려내면서 어린이는 물론 어
른들까지 매료시킨 것 같다. 세계 곳곳의 어린이들이 텔레토비를 보며
함께 웃는다고 생각하면 정말 기쁘다.".
--텔레토비 탄생 계기는.
"BBC 방송의 제의를 받았다. 우리도 나름대로 그동안 무시당해온 TV
시청자층인 4세 미만 유아용 프로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에서 오랫동안
어린이들을 관찰해 왔다. 새로운 시도였다. 작가겸 언어학자인 앤디 데
이번포트와 함께 심사숙고 끝에 텔레토비를 만들어 냈다. 어린이들을
웃게 만드는 게목표였다. 어린이가 웃으면 자신이 있다는 얘기다. 자신
이 있으면 학습을한다.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텔레토비는 훌륭한 본
보기이다. 텔레토비는 활동적이고 사교적이며 긍정적이다. 서로 사랑하
며 돕는다. 호기심에 가득 차 있고 열정적이다. 텔레토비를 보며 어린
이들은 춤추고 노래한다. 또 큰 소리로 대꾸를 하거나 텔레토비에게 다
음할 일을 말해 주기도 한다.".
--첫 반응은 어땠나.
"어린이들로부터 좋은 반응이 오리라고 확신했다. 어린이들에게 텔
레토비는 합리적이다. 반면 첫 프리젠테이션 당시 BBC 관계자들 사이에
선 기가 막히다는 듯한 침묵이 흘렀다. 우리 회사가 그동안 어린이 프
로 제작에서 쌓아놓은 명성이 없었다면 방영이 힘들었을 수도 있다. 텔
레토비에 대한 비난도 많다. 그러나 많은 경우 프로를 보지 않는 사람
들로부터의 비판이다. 어린이에게 좋은 TV프로란 어떤 것이냐는 논의에
불을 붙였다는 점이 뿌듯하다.".
--텔레토비는 기존 유아용 프로와 어떻게 다른가.
"텔레토비는 어린이들이 다음 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
야기를 따라잡을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준다. 쌍방향 대화의 시간이
다. 늘 어린이들의 반응을 기다리며 다음 장면으로 넘어간다. 텔레토비
랜드(꼬꼬마 동산)에 서 있는 바람개비는 장면 전환의 중요한 신호이
다. 확성기는 소리를 분명히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텔레토비는 어린이
들로 하여금 귀를 귀울이게 한다. 이제 어린이들의 생활에서 사라져버
린 '듣기'로부터 배우는 과정을 복원시키고자 한다.".
--텔레토비가 합리성과 현실 감각은 없고 제대로 된 언어조차 구사하
지못해 어린이들이 잘못 보고 배울 지 모른다는 우려도 있다.
"텔레토비는 어린이를 위한 프로이다. 어린이는 어른보다 사물을 훨
씬 오랫동안 봐야 한다. 텔레토비의 구성은 어린이들이 듣고 보게 만든
다. 아기들은 동시에 보고 듣지 않는다. 또 같은 장면을 보고 또 봐야
한다. 텔레토비는 어린이들과 똑같이 마음대로, 즉흥적으로 논다. 텔레
토비는 아기이다.당연히 어른들의 표준어를 구사하지 못한다. 데번포트
와나는 어린이들이 처음으로 습득하는 단어들을 모아 텔레토비의 대사
를 만들었다. 어린이들이 그렇듯이 텔레토비들은 소리를 흉내내고 따라
하면서 말을 배운다. 어린이들은 우리가 인정하는 것보다 훨씬 언어에
대한 이해력이 높다.".
--얼마나 사전 조사에 철저했나.
"첫 방송을 타기 전 2년간 매달렸다. 영국 전역으로부터 각기 다른
사회, 경제, 인종적 배경을 가진 어린이들을 모아 치밀히 관찰했다. 또
우리의 작업을 어린이들에게 보여주며 평가를 받았다. 어린이들의 반응
을 녹화하며 이들의 관심을 끄는 요소를 잡아냈다.".
--화면이 단순해서 촬영은 쉽지 않겠느냐는 추측도 있는데.
"어리다고 사물을 분간 못하는게 아니다. 어린이와 어른은 같은 세
계에서 살지만 인식을 달리할 뿐이다. 촬영은 야외에서 이뤄진다. 영국
시골에 조성해 놓은 텔레토비 랜드는 진짜다. 텔레토비 돔도 진짜다.언
덕과 풀, 토끼와 바람개비도 진짜다. 일부 꽃만 가짜다. 동물들이 움직
이는 모습 등 몇몇 장면은 컴퓨터 그래픽 등 특수효과를 이용한다. 1년
에 6개월 정도 촬영한다. 어린이들을 위한 가공의 세계를 만들려면 제
작진이 먼저 상상의 세계를 굳게 믿어야 한다.".
--텔레토비 캐릭터 상품이 쏟아지고 있다. 지나치게 상업적이라고 생
각하지 않나.
"텔레토비는 어린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일종의 환상을 심어줬
다. 7세이하 어린이의 놀이는 특히 더 창조적이다. TV의 영향으로 상상
력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 TV프로에서 배운 것을 장남감, 비디오, 책,
레코드를 통해 다시 가지고 놀 수 있다. 상품 판매가 텔레토비 시리즈
성공에 도움이 된 것은 사실이다. 방송국이 독립 프로덕션의 제작비를
모두 지원하지는 않는다.".
--영어 교사에서 어떻게 비즈니스 우먼으로 변신했나.
"자녀 둘을 낳기 전까지 영어 교사로 10년쯤 일했다. 마지못해 억지
로 책을 읽는 학생들을 보며 안타까웠다. 즐겁게 가르치는 방법을 찾다
가 TV프로제작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회사를 차린 뒤 실수를 연발하면
서 경영 감각을 키운 것 같다.".
--어린이의 TV시청에 대해 우려하는 부모도 많은데.
"책장 가득한 책만큼 좋은 TV프로도 어린이 성장에 중요하다. TV를
무조건 못 보게 하는 것은 신나는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다.".
--철학이 있다면.
"'어린이 우선', '어린이를 위해 일한다'이다. 어떻게 하면 어린이
들의 상상력을 최대로 발동시킬까, 어떻게 하면 어린이들의 놀이에 도
움이 될까를 고민한다.'상상력과 놀이없이는 창조도 없다'는 카를 융의
말을 좋아한다.".
--남편도 랙돌사 직원이라는데.
"남편 배리도 원래 TV프로를 제작했다. 어린이 반응 모니터 작업을
총괄하면서 랙돌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회사가 워낙 빨리 성장하는 바
람에 이제는 풀 타임으로 일하고 있다. 영화와 TV제작 경험을 살려 비
디오판매를 총괄하고 있다.".
--틴키 윙키(한국명 보라돌이)가 동성연애자라는 주장이 있었는데.
"텔레토비 인기의 기반은 어린이이다. 일부 어른의 황당한 주장에
대해서는 대꾸할 가치도 없다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