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군(軍) 공항 이전을 받아들이면 무안군에 1조원대 지원금을 주겠다는 약속을 조례로 제정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공언했다. 무안국제공항에 전투기를 띄워 실제 소음 피해를 측정하는 방안도 긍정적 의사를 내비쳤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6일 민선 8기 3주년 브리핑을 열고 “광주 군 공항 이전 시 광주시가 무안군에 1조원 규모 지원을 하겠다는 약속을 신뢰할 수 있는 조치로 조례를 제정해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광주를 찾아 ‘광주 군(軍) 공항의 무안군 이전’에 대해 “국가 단위에서 책임지는 게 맞다”며 “전남, 광주, 무안, 국방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에 지역 주민과 외부 전문가까지 해서 TF(태스크포스)를 꾸리고 최대한 빨리 속도를 내는 것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광주 군 공항은 현재 248만평(819만8000㎡) 규모로 1964년 현재 위치인 광주 광산구 부지에 세워졌을 당시 광주시 외곽에 자리 잡았지만 도심이 성장하면서 민가가 인접한 위치가 되면서 이전 사업이 추진됐다. 이곳은 연간 200만명이 이용하는 광주 민간공항과 같은 부지를 사용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부침을 겪고 있는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 광주 민·군공항을 무안군으로 통합 이전하는 방안이 대두돼 왔지만, 전투기 소음 피해를 우려한 무안군민들의 반대로 진척을 이루지 못했다. 광주시는 무안군이 민·군공항 통합 이전을 받아들이면 1조원 상당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었다.
김산 무안군수는 전날 타운홀미팅에서 “광주시장이 1조원을 준다고 하는데 믿지 않는다”며 “국가가 주도하면서 이전 사업을 추진하고, 획기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면 군민을 설득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강 시장은 김 군수의 입장에 대해 “1조원 지원 약속을 조례로 제정해 보장하겠다는 입장은 1년 전부터 공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날 타운홀 미팅에서는 “무안국제공항에 전투기를 띄워 실제 소음 피해를 측정해보자”는 시민 제안도 나왔다. 강 시장은 이 제안을 놓고 “광주시가 오래전부터 추진해왔지만, 성사되지 못했다. 국방부와 한국공항공사와 협의하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무안공항은 광주·전남에서 유일한 국제공항으로 지난해 12월 29일 179명 사망자가 난 제주항공 참사 이후 운항이 중단됐다. 광주공항은 무안공항 개항 이후인 2007년 11월부터 일본과 동남아 등 국제선 운항이 중단됐고 제주와 김포 등 국내선 여객기만 오가고 있다.
광주시는 국토부에 광주공항에 국제선 임시 취항을 요구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광주·전남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광주공항에 국제선 임시 취항이 필요하다는 입장은 계속 유지하나, 민·군 공항 통합 이전에 행정력을 더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