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4일 ‘2018~2022년 재난·안전사고’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본격적인 여름철인 8월에는 전기 요인으로 인한 화재와 승강기 안전사고, 벌집 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서울시 제공

시 소방재난안전본부에 따르면 8월에 발생한 화재는 5년간 총 2376건이다. 화재로 9명이 사망하고, 119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중 전기 요인에 의한 화재는 935건이다. 이는 1년 12달 중 가장 많은 수치다. 여름철 냉방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콘센트나 손상된 전선에서 먼지나 습기 등 이물질로 방전이 발생하는 ‘트래킹’ 현상 때문에 잦은 화재가 발생한 것이다.

서울시는 “8월이 폭염 등으로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고, 많은 강수량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배전반과 분전반에 화재가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여름철 3개월(6월~8월) 중 누적 강수량의 42%가 8월에 내린다.

지난 5년 간 119 출동도 8월이 1년 중 가장 많은 9만6882건이었다. 이중 정전 등으로 발생한 승강기 사고가 4188건, 벌집 제거가 1만2887건으로 연중 최다 발생했다. 8월은 벌의 활동이 왕성한 시기인데다, 산란기기 때문에 벌이 공격적으로 바뀐다. 따라서 벌집 발견이나 벌 쏘임 환자가 자주 발생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폭염 및 국지성 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8월은 각종 안전사고가 연중 가장 많이 발생한다”라며 “최근 자연 재해 위험성이 더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태풍 및 집중 호우 시 상습 침수 지역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고, 빗물로 인한 누전으로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기 사용 안전 수칙 준수 등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주의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