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지원 단체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가 “북한에 생필품을 보내겠다”며 지자체로부터 받은 수억원의 보조금을 유용한 혐의로 사정 당국의 수사 대상에 오른 것으로 5일 알려졌다.
사정 당국 관계자는 이날 “2019~2020년 민화협이 전남도로부터 지원받은 5억원을 유용했다는 혐의가 포착돼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여권과 사정 당국에 따르면, 민화협은 당시 A 업체와 북한 주민들에게 소금을 보내기로 계약했다. 계약에는 전남도로부터 받은 보조금이 사용됐다고 한다. 소금 구매 비용 4억5000만원에 운송비·보관비가 5000만원가량 든 것으로 알려졌다.
A 업체는 대금을 받은 뒤 소금 구입 영수증을 민화협 측에 건넨 것으로 알려졌다. 소금을 창고로 나르고 보관하는 사진도 파일 형태로 제출했다고 한다. 하지만 업체는 실제로는 소금을 매입하지 않은 것으로 당국은 보고 있다. 민화협도 이 업체가 실제 소금을 구입했는지 확인하지 않았다고 사정 당국 관계자는 밝혔다. A 업체는 1990년대 말부터 남북 민간 교류 창구 역할을 했으며, 다수의 옛 민주당 인사들과 연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정 당국은 민화협과 민화협 전 대표인 무소속 김홍걸 의원, 하청업체 관계자들의 계좌 내역 등을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여권 관계자는 “지원금이 목적에 맞게 사용되지 않았다는 의혹이 있다”고 했다.
민화협을 둘러싼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9년엔 당시 대표인 김 의원이 사무처장을 1년에 세 차례 교체해 “민화협을 사유화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 중 막내인 김 의원은 2017년 11월부터 2020년 8월까지 민화협 대표를 맡았고 지난 총선 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했다. 이후 민주당 소속이었지만, 2020년 9월 부동산 등 재산을 축소 신고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당에서 제명됐다. 민주당은 지난 4월 민형배 의원과 함께 김 의원 복당을 결정했다. 김 의원 복당은 오는 9일 당무위에서 최종 확정된다.
이에 김 의원 측은 “민화협에 대표로 있을 당시엔 창고에 소금이 있었다”며 “이번 사건은 김 전 의장이 물러난 이후의 일”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