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의 창업자 야노 히로타케(矢野博丈) 전 다이소 회장이 12일 심부전으로 숨졌다고 일본 언론들이 19일 보도했다./ NHK

“중국에서 99엔짜리 물건을 들여와 100엔에 팔면 1엔이 남는다.” 일본 초저가 유통업체 다이소를 창업한 야노 히로타케(矢野博才‧80) 전 다이소산업 회장이 지난 12일 별세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19일 보도했다.

일본 공영방송 NHK 등에 따르면, 야노 전 회장은 지난 12일 오전 히로시마현 자택에서 심부전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1943년 중국 베이징에서 태어난 고인은 패전 이후 가족과 함께 고향 히로시마로 돌아왔다. 부친은 의사였지만 형편은 넉넉지 않았다. 고인은 결혼 뒤 처가의 방어 양식업을 물려받았으나 3년 만에 부도가 나 700만 엔의 빚을 지고 야반도주했다. 도쿄에서도 직장을 아홉 번 이직했다.

1972년에는 트럭에 생활용품을 싣고 다니며 파는 ‘야노상점’을 차렸다. 도산한 기업의 재고 상품을 헐값에 매입해 싸게 팔았다. 바쁜 탓에 물건마다 일일이 가격표를 붙이기가 어려워지자 100엔에 균일가로 판매했다고 전해진다. 100엔숍(1000원 가게)이 시작된 순간이었다.

1977년에는 사명을 ‘다이소산업’으로 바꾸고 법인화했다. 야노 전 회장은 “싼 게 비지떡”이라는 일본 주부들의 불평을 반영해 상품의 품질을 공급하려고 했다. 제품 매입가를 98엔까지 올려 100엔으로 가능한 최대 품질의 상품을 공급하고 마진은 최소화한 전략이다.

다이소는 당초 행상인들끼리 특정 장소를 하루 정도 빌려 물건을 파는 형태였다. 1991년 비로소 직영 매장을 설립했다. ‘버블 경제’로 일본이 불황 국면을 맞는 시기였으나 다이소에는 성장 기회였다. 손님들이 비싼 제품 대신 실속형 저가 제품을 판매하는 100엔숍으로 몰린 것이었다.

일본 전역에 다이소 매장이 세워졌고, 2019년 기준 일본에 약 3300개 점포, 해외 26개국에 약 2000개 점포를 운영하는 세계적인 브랜드가 됐다. 2017년까지 다이소를 직접 경영해 왔던 고인은 2018년 3월 당시 부사장이었던 차남에게 대표이사 사장 자리를 넘기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다이소는 2000년대 한국에 진출했다. 아성산업에 지분 34%를 투자하는 방식이었다. 지난해 12월 아성산업이 일본 본사 지분을 모두 사들이며 한국 다이소의 경우 현재는 100% 한국 기업이 됐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