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를 뒤흔든 게임스톱 주식의 ‘공매도 전쟁’에서 진정한 승자는 개미(개인 투자자)나 공매도 세력이 아닌 게임업체의 미래를 보고 값싸게 투자했던 한 헤지펀드 회사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게임스톱 회사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WSJ에 따르면, 지난해 게임 유통업체 게임스톱 주식을 주당 10달러(약 1만1000원) 미만에 사들였던 미국 뉴욕의 헤지펀드 ‘선베스트 매니지먼트’는 최근 주가가 400달러(44만7000원) 이상 급등하면서 7억달러(7827억원)를 벌었다.

선베스트는 지난해 1월 한 투자 컨퍼런스에서 게임스톱 경영진의 발표를 듣고 매수를 결정했다. 당시는 월가 대부분의 분석가들이 게임스톱 주식을 ‘보류 혹은 매도’ 등 비관적으로 평가할 때였다.

그러나 선베스트는 게임스톱 경영진과 추가로 대화를 나눈 후 주식 매수에 나섰고 그해 10월말 게임스톱 지분 5% 이상을 소유하게 됐다. 선베스트는 게임스톱이 차세대 비디오게임 콘솔을 출시하고 온라인 게임을 개발해 소비자들의 게임 수요를 늘린다면 회사 가치가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선베스트는 또 기업 분석을 통해 주요 헤지펀드들이 게임스톱에 공매도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숏스퀴즈(공매도한 주식을 갚기 위해 단기간에 매수하며 급등하는 현상)를 노려볼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후 미국 개인 투자자들이 공매도 세력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게임스톱 주식을 대거 사들이는 사건이 벌어졌고, 게임스톱 주가는 연초 한달새 최대 1700% 뛰어올라 한때 장중 481달러까지 고공 행진했다. 예상치 못하게 선베스트가 투자에 성공한 것이다.

그러나 온라인 주식거래 앱 로빈후드가 개인 투자자의 게임스톱 매수를 제한하고 헤지펀드들의 공매도 반격이 이어지면서, 게임스톱 주가는 연일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게임스톱 사건’은 공매도(향후 주가 하락을 노려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실제 주가가 하락하면 주식을 사서 갚는 투자기법)에 나선 기관 투자자에 대항한 미국의 개인 투자자들이 일제히 게임스톱 주식을 매수해 주가를 폭등시킨 일이다. 미국 개인 투자자들이 월가의 공매도 세력과 일종의 전쟁을 벌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