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현지 시각) 신제품 아이폰15 시리즈를 발표한 애플이 세계 곳곳에서 곤욕을 겪고 있다.
14일 워싱턴포스트(WP)는 애플이 미 법무부와 구글의 반독점 재판에 대해 “법무부가 민감한 사업 정보에 대한 비밀 유지 의무를 위반했다”며 이의를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미 법무부가 구글이 검색 엔진 시장 독점을 위해 스마트폰 제조사에 수십억 달러를 지불했다고 주장하면서 애플을 언급한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애플측은 “법무부가 언급한 각종 숫자가 애플에서 나온 정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이것은 합의된 규칙을 위반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선 재판에서 법무부는 구글이 검색 엔진 시장에서 경쟁사가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본 검색 엔진 계약 사용을 무기로 활용했다며 애플의 사례를 들었다. 구글이 2020년까지 애플의 기본 웹 브라우저인 사파리에 구글을 기본 검색 엔진으로 설정하기 위해 애플에 연간 40억달러~70억달러를 지불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미 법무부는 “이 숫자는 애플이나 구글이 제공한 특정 정보가 아닌 외부 출처를 기반으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애플은 유럽에서도 전자파 스캔들에 휘말렸다. 프랑스 무선 주파수를 관장하는 기관인 전파관리청(ANFR)은 12일 애플의 아이폰12에서 기준치를 넘는 전자파가 방출된다며 이 제품에 대한 판매 중단 명령을 내렸다. 판매 중단은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갈 가능성이 높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프랑스에 이어 독일·벨기에·네덜란드 등이 잇따라 애플에 설명을 요구하고 나섰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