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 헬스팀장 혼 팍 상무가 23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삼성전자의 건강 관리 설루션 '삼성 헬스'의 전략과 비전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헬스 사업 미래 전략의 큰 축 중 하나를 수면 기능으로 꼽고, 갤럭시 워치에 개인화된 건강 관리 기능을 계속 추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3일 삼성전자는 서울 중구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건강 관리 설루션 ‘삼성 헬스’의 전략과 비전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혼 팍 모바일경험(MX) 사업부 디지털 헬스팀장(상무·전문의)은 “2012년 출시한 삼성 헬스는 전세계 곳곳에서 매달 6400만 명이 사용하는 글로벌 건강 설루션”이라며 “하반기 출시될 새로운 갤럭시 워치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해 사용자들이 보다 강력한 건강 관리 기능을 체험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삼성 헬스’는 수면, 피트니스, 마음 건강 서비스, 건강 지표 모니터링을 아우르는 서비스로 매달 전세계 6400만 명이 이용한다. 2012년 처음 출시 당시 간단한 피트니스 트래킹 지원으로 시작한 삼성 헬스에는 2015년 수면 관련 기능이 탑재됐고 2018년부터는 갤럭시 워치를 중심으로 전략이 개편됐다. 2020년에는 혈압, 심전도 등 다양한 건강 관련 기능이 추가됐다.


삼성전자 갤럭시워치 수면 관리 기능. /삼성전자


혼 팍 상무는 “수면은 건강한 삶을 위한 시작점”이라며 “매일 잘 자고 건강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도록 수면 기능을 강화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에 따르면 질 좋은 수면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면서 갤럭시 워치 이용자 중 주1회 이상 수면 기능을 쓰는 사람의 비율이 지난해보다 약 2배 증가해 전체 이용자의 절반을 차지했다. 이중 40%는 최소 주 3회 이상 꾸준히 수면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은 단순한 수면 측정에서 더 나아가 수면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코칭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8가지 동물 유형으로 세분화한 수면 코칭 프로그램을 도입한 게 대표적이다. 갤럭시 워치는 고도화된 센서로 수면 중 뒤척임 정도를 측정해 수면 사이클을 파악하고 광학 심박 센서로 심박과 산소포화도를 바탕으로 한 수면의 깊이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맞는 유형을 추천하는데 가령 “낮잠을 줄여라” “특정 음식을 가려 먹어라” 라고 제안하는 식이다.

팍 상무는 이같은 삼성 헬스의 수면 측정 기능이 중요한 맥락 정보로 의료 정보의 훌륭한 보완 데이터가 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갤럭시 워치 등으로 측정한 맥락 정보가 의료 정보를 대체할 순 없겠지만 효율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며 “예컨대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의료 기관을 찾아 심층적 검사를 하게 되겠지만 그에 앞서 1~2주 만이라도 갤럭시 워치를 통해 추세를 파악하면 진단에 훨씬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의료 비용 증가와, 의료 전문 인력 부족 문제에 대한 기술적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측정의 정확도에 대해서는 그는 “수면은 건강의 창(窓) 이기 때문에 개인마다 다른 수면 시간, 질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어버드나 링과 같은 광범위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측정의 정확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팍 상무는 “혈압, 심전도, 여성 생리 주기 측정 등 다양한 기능이 계속해서 업데이트 되고 있고 하반기 출시 예정인 새로운 갤럭시 워치에는 추가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이 보다 개인화된 피트니스 경험과 건강 모니터링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삼성전자는 건강 관련 기능을 고도화하기 위해 병원, 대학, 연구기관 등 전문 기관과 협업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