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반도체 공장을 늘리고 있다. 최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중국은 2021~2024년 반도체 제조공장(팹) 31곳을 건설할 예정이다. 같은 기간 대만(19곳)과 미국(12곳)의 공장 신설 계획을 크게 앞선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현지 시각) “중국은 미국, 대만, 한국 등과의 첨단 반도체 기술 경쟁에서 열세에 몰리자 차량용·스마트폰용 반도체 등 중저가 반도체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의 반도체 전략은 물량 공세로 중저가 시장 점유율을 단기간에 높이는 것이다. 한국·대만 등이 주도하는 7나노 미만 초정밀 공정 기술이 아닌 28나노 이상 공정을 겨냥해 ‘질보다 양’으로 승부한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주로 노리는 자동차 전장(전자장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전력 공급 장치 반도체 등은 현재 중국의 장비·기술로 양산 가능한 품목들이다. 고영화 베이징대 한반도연구소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에서 부가가치를 따지기보다 생산 물량 늘리기에 집중하기로 결정하고, 자국 반도체 생산량을 ‘매출’이 아닌 ‘생산 갯수’로 집계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 정책의 뒷받침 속에 중국 기업들의 중저가 반도체 투자 규모도 커지고 있다.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회사 SMIC는 상하이에 89억 달러(약11조6000억원)를 투자해 28나노 반도체 제조 공장을 짓고 있다. SMIC는 반도체 장비회사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등으로부터 145억 달러(약18조9000억원) 규모의 장비도 구매했다.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은 2017년 13%에 불과했는데, 올해는 26%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중국이 중저가 반도체 공급사슬을 장악할 경우 세계 반도체 산업의 대중(對中) 의존도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최근 반도체 수요가 둔화되며 대만 TSMC 등 세계 주요 반도체 회사들이 생산 시설 투자를 줄이고, 수익률 높은 초정밀 반도체에만 투자를 집중하고 있어 중저가 반도체는 중국이 주도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컨설팅업체 인터내셔널비즈니스스트래티지(IBS)는 중국이 주력하는 28나노 반도체 수요가 2030년까지 281억달러(약 36조9000억원)로 3배 이상 팽창할 것이고, 중국의 시장 점유율은 현재의 15%에서 40%로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이 중저가 반도체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향후 첨단 반도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도 높다. 중국은 과거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산업에서 진입 장벽이 낮은 기술 영역을 발판 삼아 첨단 기술 영역에 도전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컨설팅 업체 베인앤컴퍼니 관계자는 “미국과 동맹국들은 구형 반도체 기술에 충분히 투자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