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에 대한 중국의 제재 조치를 한국과 미국 사이를 이간하려는 중국의 시도로 보고, 이를 이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가 28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사안을 잘 아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 정부가 삼성·SK하이닉스 등이 마이크론의 공백을 이용해 중국 내 점유율을 늘리는 것을 장려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이어 “한국은 미국을 한국 반도체 산업의 장기적인 핵심 파트너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훼손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이런 방침을 정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중국은 지난 21일 마이크론 제품에 보안 문제가 발견됐다며 중요 정보 인프라 운영자의 마이크론 제품 구매를 금지했다. 미국의 잇단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에 대한 맞대응 격이었다. 그러자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는 마이크론과 경쟁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내 메모리 시장 점유율을 높일 기회라는 해석이 나왔다.
‘마이크론 사태’에 대한 한국의 대응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최근 마이크 갤러거 미국 하원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이 “한국은 빈자리를 채우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요청하면서부터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이 미중 반도체 갈등에서 일방적인 미국편을 들면 중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미국 한미경제연구소의 트로이 스탠거론 선임국장은 최근 “중국이 사드(THAD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때와 같은 방식으로 한국 기업을 징벌할지도 모른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지금까지 ‘마이크론 사태’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