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전국위원회가 9일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 임명안을 의결하면서 자동 해임된 이준석 대표는 불복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가처분 신청합니다. 신당 창당 안 합니다”라는 두 문장을 올렸다. 지난 7일 이 대표는 페이스북에서 “13일 기자회견을 하겠다”고 예고했는데, 이에 앞서 법원에 비대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부터 내겠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당원권 정지 6개월’이 풀리면 대표로 복귀할 수 있는데도 비대위 출범으로 갑자기 해임되는 상황을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당 안팎에서 나오는 ‘탈당 후 신당 창당’ 관측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여권 일각에서는 이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 측의 접촉을 기다리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이 대표는 정치적 퇴로가 없는 상황에 내몰렸기 때문에 법적 대응이라는 극단적인 선택까지 하게 된 것”이라며 “윤 대통령 측이 먼저 손을 내밀어 명예롭게 퇴진할 수 있는 정치적 해법을 제안하면 이 대표가 수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했다.

이 대표가 실제로 가처분 신청을 내게 되면 집권여당 대표가 소속 정당의 결정에 반발해 법원의 판단을 구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강대강 대치를 풀고 정치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국민의힘 김근식 전 비전전략실장은 이날 라디오에서 “아직 토요일(13일 이 대표 기자회견)까지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비대위원장이 선출되면 그 비대위원장이나 당 지도부가 이 대표를 만나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하면서 정치적 출구를 모색하는 그것이 정당 (정치) 아니겠느냐”고 했다. 전국위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도 정치하는 분이고 앞으로 본인의 정치 진로를 위해 가처분 신청 같은 법적 대응은 좀 자제해주길 한 번 더 부탁하고 싶다”고 했다.

친이준석계인 김용태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책임 있는 보수 정당의 일원으로서 국가 재난 상황에 준하는 호우 상황에서 (거취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취소하겠다”며 “이 순간 무엇이 국가와 국민 그리고 당을 위해 중요한 것인지 고민했다. 저는 효력 정지 가처분은 신청하지 않겠다”고 했다. 비대위 체제 전환에 대한 절차적 정당성을 인정할 수는 없지만, 이 대표처럼 법적 대응까지 하며 맞서지는 않겠다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