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은 페르시아만이라고 부르고, 아랍권에서는 아라비아만이라고 합니다. 절대로 헷갈리면 안 됩니다.” 중동 전문가인 이권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이 강의를 시작하자 시선이 집중됐다.
지난달 15일 농식품부가 자리 잡은 정부세종청사 5동 4층 대회의실. 직원 50여 명이 회의실을 채웠다. 점심시간을 활용해 ‘중동 스터디’를 하려고 모인 것이다. 이날이 첫 모임이었다. 실·국장부터 다양한 직급의 직원들이 도시락을 받아들고 자리에 앉았다.
이 소장은 “중동과 교역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중동의 범위’”라며 “전략적 차원에서 넓히기도 하고 좁히기도 하는데, 그 분류를 잘 알아야 한다”고 했다. 또 중동 지역 국가들의 협상력에 대해 “교역 노하우가 상당하고 협상을 터프하게 하는 편이니 유념해야 한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농식품부에 ‘중동 붐’이 분다.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방문 이후 농식품부 직원들 사이에서 “중동을 알아야 한다”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다. 순방에 동행했던 차희수 스마트농업정책과 사무관은 “중동에 다녀오고 나서 중동에 대한 이미지가 180도 바뀌었다”며 “열려 있고 투자 의지가 강한 중동을 더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직원들의 요구를 파악한 권재한 농업혁신정책실장이 스터디를 꾸렸다. “UAE가 한국에 300억달러 투자를 하겠다고 했는데 어떤 준비를 해야 ‘오일 머니’가 우리 농식품 기업으로 더 흘러들어 올 수 있을지 공부할 생각”이라고 했다. 이 모임은 매달 열기로 했다.
강의가 끝나자 실무진의 고민이 담긴 질문이 쏟아졌다. 한 직원이 “중동 진출은 주로 외교 채널이나 공관을 통해 이뤄진다. 민간에서는 ‘중동 진출이 쉽지 않다’고 한다. 진출 팁이 있나” 묻자 이 소장은 “기업이 자체적으로 뚫기는 어려운 구조다. 정부가 장(場)을 만들고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농업 측면에서 국가별로 어떤 차별화 전략이 필요한가” 묻자 이 소장은 “이란은 새로운 품종이나 신기술 전수, 아랍권은 제조업 기반 기술 쪽으로 집중하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이 소장은 “점심 스터디라고 해서 10명쯤 모이는 줄 알았는데 놀랐다”면서 “농식품부 공무원들의 중동에 대한 관심이 반갑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