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청와대 이전 후 사대문 안 도심 건축물의 높이 제한을 풀고 용적률을 높여 ‘빌딩 숲’과 ‘나무 숲’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시청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성과 및 향후 시정 운영방향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2022.4.12/뉴스1

오 시장은 12일 취임 1주년 기자 간담회에서 “청와대가 시민들에게 개방되는 시점을 기점으로 서울 도심의 편의성과 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계획을 만들고 있다”며 “조만간 녹지생태도시 개념의 새로운 도심 프로젝트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도심 건축물의) 높이 제한을 풀고 용적률을 최대한 부여해 (사업주가) 공공에 기여하는 부분(기부채납 형태 등으로 제공하는 땅)을 늘리고, (공공 기여분의) 그 땅을 녹지와 나무 숲으로 만들 것”이라고 했다. 현재 사대문 안 도심 건축물의 높이는 90m 이하로 제한돼 있다.

오 시장은 북악산~청와대~광화문 광장~서울역~용산~한강을 잇는 도심 축과 종묘~경복궁~창경궁을 거쳐 한강까지 이어지는 또 다른 도심 축을 녹지생태도시로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구도심을 재개발해 쾌적한 업무 공간을 만들어내고, 거기에 주거 공간까지 함께하는 녹지생태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용산공원이 반환되면 녹지 공간이 만들어지는데, 앞으로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할 예정인) 용산철도정비창 부지도 나무 숲과 빌딩 숲이 공존하는 녹지생태도시가 될 수 있도록 설계할 생각”이라고 했다.

오 시장은 서울의 녹지 비율을 영국 런던이나 미국 뉴욕과 같은 규모로 키우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그는 “선진국 도심과 비교해 서울의 녹지 비율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런던이나 뉴욕 도심의 녹지 비율이 15~25% 정도 되는데 서울은 공원 면적까지 합해 7~8% 정도 된다. 앞으로 10% 이상 될 수 있도록 푸른 공간을 늘려 나가겠다”고 했다.

오 시장은 이날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 “주택 공급도 중요하지만 부동산 가격이 더 중요하다”며 “부동산 가격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는 기조하에서 주택 공급을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의해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와의 전화 통화에서 이 같은 내용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그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서울시와 협동 관계를 이뤄가는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부동산 가격을 자극하는 일이 없도록 최대한 정교하게 접근할 것이라는 점은 충분히 공감대가 형성된 단계”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