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국가안보실장이 25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 룸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청와대가 25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친서를 주고받았다는 사실을 공개하면서 군 안팎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군은 북한이 우리 국민 A씨를 사살한 뒤 시신을 불태운 만행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A씨를 구출하려고 노력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보고를 받은 청와대 역시 대북 접촉은 없었다고 했다. 이를 두고 군에서는 “군과 청와대가 우리 국민을 구할 의지가 정말 있었느냐”는 말이 나왔다.

군은 지난 24일 A씨 사살, 시신 훼손 사건을 발표하면서 북한과의 공식 소통은 A씨가 숨진 다음 날(23일) 유엔군사령부를 통해서 이뤄졌고, 북한의 답변은 없었다고 했다. 하지만 청와대의 발표에 따르면 문 대통령과 김정은은 최근까지도 코로나와 관련된 친서를 주고받았다. 국민의힘 신원식 의원은 “공식 접촉 라인이 끊어졌다면 국제상선망을 이용해 북측에 협조를 요청하거나 언론에 상황을 공개해야 했다”고 했다. 남북 정상 간 친분 과시용으로 가동하는 비공식 라인을 활용할 생각을 안 한 것도 문제지만, 국민 생명과 직결된 이 같은 통신수단까지 외면한 것은 더 큰 문제라는 것이다.

군 관계자는 “어찌 됐건 오늘 청와대의 발표는 국정원 등에서 북한과 계속 소통 수단을 열어뒀었다는 걸 시인한 것”이라며 “이것을 당연히 알았던 군과 제대로 활용 못 한 청와대 모두 ‘공식 라인이 끊어져 A씨를 구출하지 못했다’고 거짓 핑계를 댄 셈”이라고 했다. 군에서는 “북한과의 소통 수단이 살아있는 상황에서 (청와대가) 군에만 책임을 전가했다”는 반발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