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급식·돌봄 업무를 맡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모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가 31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학교 급식·돌봄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각 시·도 교육청은 상황실을 만들어 대체 급식을 준비하는 등 파업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급식조리사·돌봄전담사·방과후교사 등으로 이뤄진 학비연대는 31일 총파업을 하겠다고 밝혔다. 학비연대는 임금 체계 개편, 급식실 근로자 폐암 발생 대책 마련, 늘봄학교·돌봄교실 인력 확충과 처우 개선, 명절 휴가비 기본급 100%, 공무원과 동일한 복리후생수당 기준 적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 교육 당국은 기본급 3만8000원(2%), 명절 휴가비 20만원(14.3%), 정기 상여금(11.1%), 맞춤형 복지비 10만원(18.2%) 인상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양측 이견은 6개월째 좁혀지지 않고 있다.
학비연대의 파업은 지난해 11월 25일 총파업 이후 4개월 만이다. 이들은 교육부 및 17개 시·도 교육청에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와 정규직 교직원의 임금·복지 격차를 해소해 달라며 2012년 이후 매년 총파업을 반복하고 있다. 하지만 새 학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파업하는 것은 처음이다. 작년 파업에는 2만1470명이 참여해 전국 학교 3181곳(25.3%)의 급식에 차질이 발생했다. 운영되지 못한 돌봄교실은 701곳에 달했다.
교육 당국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각 교육청은 파업 대응 상황실을 마련했고 각 학교에 파업 시 대응 지침을 내려보냈다. 급식의 경우 식단을 간소화하거나 도시락 지참, 빵·우유 등 대체 급식 실시로 대응하도록 했다. 돌봄은 학교 내 교직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합반 운영을 하도록 했다.
학비연대 파업 방침에 대해 학부모들은 “아이들을 볼모로 파업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했다. 맞벌이 부부들은 “돌봄교실이 문을 닫으면 회사 눈치를 보면서 연차를 써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