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30일 문재인 정부에서 시행한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해 “비현실적 제도”라며 “다 철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이날 오후 충북 청주의 한 2차전지 기업을 방문했다. 윤 후보는 기업 관계자들이 주 52 시간제 등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하자 “정부의 최저시급제, 주 52시간이 중소기업에서 창의적으로 일해야 하는, 단순 기능직이 아닌 경우 굉장히 비현실적이고 기업 운영에 지장이 많다는 말씀”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소기업의 경영 현실을 모르고 탁상공론으로 만든 제도들 때문에 고통스럽다는 말씀으로 받아들였다”고 했다. 윤 후보는 “차기 정부를 맡게 되면 자기들 마음대로 하는 것은 확실하게 지양하겠다”며 “제 모토는 어떤 일이든지 이해 관계자한테 물어보고 하라는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선대위 김은혜 대변인은 “윤 후보의 오늘 발언은 다음 정부에선 현장과 괴리된 여러 제도를 철폐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드린 것 뿐”이라며 “‘52시간제 철폐’ 등은 발언 취지와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했다.
윤 후보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전날 윤 후보의 공약인 소상공인 코로나 손실보상금 50조원을 내년도 본예산에 편성하자고 한 데 대해 “포퓰리즘이라고 엊그제까지 공격하다가 표 계산을 해 보니 아마 그렇게 하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민주당에서 드나 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야당 차원에서도 여당이 추진한다고 하면 적극 협조하는 게 맞는다”고 했다.
윤 후보는 이후 청원구 첨단문화산업단지에서 청년 창업자·예술인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윤 후보는 “여러분이 어려움을 얘기해주면 공약뿐 아니라 차기 정부에서 세세하게 반영하겠다”고 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코로나 영업시간 제한과 부동산 대출 규제로 인한 어려움, 문화예술인 복지 문제 등을 이야기했다. 윤 후보는 전날도 대전에서 청년들과 토크 콘서트를 하는 등 지난 25일부터 닷새 동안 청년 관련 행사를 이어갔다. 그러나 전날 청년 토크 콘서트 행사에 1시간이나 지각해 민주당에서 “청년의 소중한 시간만 빼앗았다”는 공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