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3일 브리핑에서 “지난 1일 기준, 중증·응급 환자가 전주 대비 9.1% 증가했다”고 했다. 증가한 환자 수는 밝히지 않았다. 정부가 가장 최근에 발표한 중증·응급 환자 수(지난달 26일 기준)는 1305명이었다. 이를 감안하면 3월 말에서 4월 초까지 일주일 만에 중증·응급 환자가 100여 명 증가했다는 얘기가 된다. 의료계 일부에선 “전공의 이탈로 수술·입원이 무기한 연기되는 일이 파업 기간(40여 일)에 누적되면서 제때 치료를 못 받은 환자들의 상태가 악화하고 있는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 반면 정부 관계자는 “4~7% 정도의 환자 수 증감은 통상적인 변동”이라고 했다.
정부는 또 전국 246개 보건소와 1341개 보건지소에서도 비대면 진료를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2월 모든 병원·의원에서 비대면 진료를 허용한 것에 이어 보건소까지 허용한 것이다. 지방에 사는 노약자도 의사에게 전화를 걸어 쉽게 진료를 받고 약을 처방받을 수 있게 한 셈이다.
정부는 오는 8일까지 전국 국립대 의대를 상대로 의대 교수 수요 조사도 실시한다. 정부는 앞서 “2027년까지 전국 9개 거점 국립대 의대의 교수를 1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전날 고용노동부에 전공의 수련 병원의 근로 감독을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부 관계자는 “전의교협이 의대 정원 대폭 확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정부에 대항해 ‘준법 투쟁’을 본격화하겠다는 뜻인 것 같다”고 했다.
또 윤석열 대통령에게 ‘전공의들을 만나달라’고 했던 조윤정 전의교협 홍보위원장은 이날 사퇴했다. 조 위원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대표에게 부탁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박 대표를 초대한다면 아무런 조건 없이 만나보라”고 했다. 이 브리핑이 전의교협 내부에서 논란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전공의 단체가 제시한 ‘의대 증원 백지화’ 등 대화 전제 조건이 있는데도 홍보위원장이 ‘조건 없는 만남’을 조언하는 개인 의견을 공식 브리핑에서 밝혔다는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