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밀양시에 경남 첫 공공산후조리원이 문을 열었다. 그동안 인구 10만여 명의 밀양에 산후조리원이 전혀 없어 지역 산모들이 인근 도시로 ‘원정 산후 조리’를 가야 하는 불편을 겪어왔다.
경남도는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고 산후 조리 서비스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총 30억원을 들여 경남 밀양시 내이동에 공공산후조리원을 열었다”고 5일 밝혔다.
밀양 공공 산후조리원은 지상 2층 규모로, 임산부실 8실과 신생아실·수유실·다목적실·상담실 등을 갖추고 있다. 산후 관리를 비롯해 모유 수유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한다.
이용 요금은 2주 기준 160만원으로, 민간산후조리원과 비교해 50만~100만원가량 저렴하다. 취약계층 등에게는 이용료를 할인해준다. 할인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국가유공자, 5·18민주유공자, 다문화가족, 북한이탈주민, 희귀난치성질환자, 한부모가족, 다태아 또는 셋째 자녀 이상 출산 산모 등이다.
경남 1호 공공산후조리원인 ‘밀양 조리원’은 시범 운영을 거친 뒤 오는 6월 중 정식 운영에 들어간다. 경남도민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경남도에 따르면 도내 민간산후조리원은 28곳으로, 경남 18개 시군 중 창원과 진주 등 6개 시 지역에 집중돼 있다. 나머지 10개 군 지역과 밀양시, 사천시 2곳엔 산후조리원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경남도는 공공산후조리원을 권역별로 설치하기로 하고, 공모 절차를 거쳐 동부 권역은 밀양을 선정했다. 현재 북부권의 거창군에도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하병필 경남도지사 권한대행은 “지역이 지속해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아이를 낳고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공공산후조리원을 확대하고, 출산과 보육 환경 개선에 더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