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강남 테헤란로 일대의 빌딩 높이 규제를 풀고 용적률을 최고 1800%까지 높여주기로 했다. IT 기업이 몰린 테헤란로 일대의 규제를 풀어 초고층 빌딩과 ‘프라임급 오피스(연면적 3만㎡ 이상 대형 오피스)’ 공급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테헤란로 지구단위계획 결정 변경안’을 통과시켰다고 13일 밝혔다.

서초구 강남역 사거리에서 강남구 포스코 사거리까지 테헤란로 2.7㎞ 구간의 규제를 푼다. ‘용도지역 조정 가능지’ 제도를 활용해 용도지역을 탄력적으로 지정하는 방법을 쓴다. 예를 들어 에너지 소비량이 적은 친환경 건물을 짓거나 디자인이 혁신적인 건물을 세울 경우 용도지역을 중심상업지역으로 바꿔 용적률을 최고 1800%까지 해주는 것이다. 용적률은 대지 면적 대비 건물의 연면적으로, 높을수록 건물을 높게 지을 수 있다. 주거지역, 상업지역 등 용도지역에 따라 다른데 중심상업지역이 최고 1800%로 가장 높다. 서울은 중구 명동과 마포구 상암동, 영등포구 여의도동 등에서 이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테헤란로 일대에서는 강남파이낸스센터가 45층으로 가장 높은데, 앞으로 50~60층 빌딩 신축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테헤란로 일대는 2000년대 벤처 기업들이 몰리면서 테헤란밸리라 했다. 이후 상당수 기업이 높은 임차료 등을 이유로 판교테크노밸리와 가산디지털단지 등으로 옮겨갔다. 현재 구글코리아, 크래프톤 등이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신분당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가 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