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승리는 수도권 최대 승부처인 ‘한강 벨트’에서 높은 지지율을 보였던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강 벨트 지역은 부동산과 세제 정책에 민감한 곳인데, 이 대통령은 “1가구 1주택 실거주는 제약할 필요가 없다”며 부동산 관련 정책을 보다 유연하게 펴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번 대선의 서울 개표 결과에 따르면, 강남 3구와 용산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이 대통령이 김 후보를 앞섰다. 특히 한강과 인접한 서울 마포·용산·중구·성동·광진·양천·영등포·동작 중 용산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이겼다. 지역별 이 대통령과 김문수 후보의 득표율을 보면, 마포(48.4%·39.1%) 용산(41.1%·47.6%) 중(46.8%·42%) 성동(45.2%·43.1%) 광진(48.1%·39.9%) 양천(48.3%·41.3%) 영등포(46%·41.6%) 동작(47%·41%) 등이었다. 한강 벨트는 재개발 예정 지역, 대학생, 자영업자, 직장인 등이 뭉쳐 있어 특정 정당 지지세가 뚜렷하지 않은 스윙보터 지역이다. 전국 민심의 향방을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되기도 한다.

그래픽=김성규

문재인 정부의 보유세 인상 등 부동산 정책 실정이 유발한 ‘분노 투표’를 경험한 이 대통령은 부동산 공약의 중심축을 재건축·재개발 완화, 주택 공급 확대로 잡았다. 이 대통령은 지난 2월 경제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해 “부동산 세금은 손댈 때마다 문제가 돼 가급적 손대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용산구를 찾아 “세금으로 집값 잡는 일을 하지 않겠다”며 주택 공급을 늘려 집값을 안정화하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과거 종합부동산세 부과로 민심 이반이 나타난 상황을 다시 만들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됐다. 이 대통령은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는 ‘한강벨트특별본부’를 선거대책위원회 내에 설치하는 등 핵심 격전지로 꼽히는 이 지역 표심을 얻기 위해 공을 들여왔다.

수도권 외에도 이 대통령은 이번 선거에서 대전·충북·충남과 같은 과거 열세 지역을 뒤집으며 선거 판세를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