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 왼쪽부터 윤석열 대통령, 시진핑 주석, 기시다 총리./대통령실·신화·AP

정부가 다음 달 말 한·중·일 정상회의를 개최하기 위해 해당 국가들과 논의 중인 것으로 4일 알려졌다. 정부 소식통은 이날 “이번 회의 의장국으로서 일정을 확정짓기 위해 중·일과 교섭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일본 교도통신도 “한국이 한·중·일 정상회의의 5월 개최를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회의가 성사되면 2019년 12월 중국 청두(成都)에서 마지막 3국 정상회의가 열린 후 4년 반 만의 일이다.

한·중·일 3국은 2008년부터 일본, 중국, 한국이 돌아가며 개최국이 되는 방식으로 한·중·일 정상회의를 개최해 왔다. 중국에서 마지막 회의가 열렸기 때문에 다음 회의는 한국 차례다. 2019년 청두 회의에서 한·중·일은 3국 정상회의, 외교장관 회의의 정례화에 합의했지만 이후 코로나 팬데믹이 발생하고 한·일 및 한·중 관계가 경색되면서 다시 회의가 열리지 못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정부는 한·중·일 정상회의 복원을 추진해 왔다. 작년 11월 부산에서 3국 외교장관 회담이 열렸지만 “상호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에 개최”한다는 원칙적 합의 외에 일정을 확정하지는 못했다. 이번 회의가 성사된다면 미·중 갈등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심화된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 속에서 동북아 3국의 갈등을 관리할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측은 2008년 첫 회의 때부터 국가주석이 아닌 총리가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해 왔다. 이번 회의에도 시진핑 주석이 아닌 리창 총리가 방한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