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타스 연합뉴스·교도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전임 윤석열 정부의 강제 징용 문제 해결 방안과 관련, “국가 간 관계는 정책의 일관성이 특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일 관계에는 실용적 관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지난 정부의 강제 징용 문제 해결법을 그대로 진행할 것인가’라는 일본 언론의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윤 정부는 한일 민간의 자발적 기여로 마련한 재원을 통해 강제 징용 소송에서 배상 판결을 받은 피해자들에게 일본 기업 대신 판결금과 지연 이자를 지급하는 이른바 ‘제3자 변제 해법’을 추진해왔다. 이 대통령이 이 해법을 그대로 이어갈 수 있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 대통령은 한일 관계와 관련,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상인의 현실 감각, 서생의 문제의식’ 두 가지를 다 갖춰야 훌륭한 정치인이 될 수 있다고 말씀했다”면서 “한일 관계도 그런 실용적 관점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안타깝게도 과거사 문제, 독도 영토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으나 일본과 한국은 여러 가지 면에서 공통의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며 “경제·안보 문제·기술·문화 교류 등에서 쌍방에 모두 도움 되는 것들을 충분히 찾아낼 수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을 거론하면서 “진지하게 본심으로 인정할 건 인정하고, 사과할 건 사과하고, 협력할 건 협력하고, 경쟁할 건 경쟁하는 합리적 관계가 되면 좋겠다”고 했다.

이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취재진과 만나 이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면서 “올해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이다. 한일, 한·미·일 협력을 활발히 할 것이다. 한일 정상회담은 조속히 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재명 대통령이 반일 정책을 추진할 것인가, 일본의 관심은 이것 하나”라고 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외무성 관계자를 인용, “정권 초기에는 유화적인 자세를 보이더라도, 대일 강경 노선의 ‘본래 성향’이 서서히 드러날 것”이라며 “윤석열 정권 때만큼 좋은 한일 관계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