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더불어민주당) 전북도지사 당선인이 국민의힘 출신 인사를 3급 정책보좌관으로 채용해 여당과 소통을 강화한다.
김 당선인은 23일 “전북 발전을 위해서 여당과 야당을 가리지 않고 함께 가겠다”며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과 일회성 협치가 아닌 지속적인 협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김 당선인은 지난 21일 국민의힘 전북도당을 방문해 “여당과 소통할 수 있는 3급 정책보좌관을 국민의힘에서 추천해달라”고 요청했다. 김 당선인은 “정책보좌관을 정책협력관으로 바꾸고, 실질적으로 전북도와 집권 여당·정부의 가교 역할을 담당하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북도 정책보좌관은 도지사 직속으로 주로 선거 캠프 출신 인사나 도지사 최측근이 맡아 왔던 자리다. 전북 지역에서 민주당 도지사가 국민의힘과 새누리당·한나라당 등 인사를 도정에 참여하게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관영 당선인은 지난 15일엔 인수위원회 사무실로 정운천 국민의힘 의원을 초청해 여당과 협치 행보를 시작했다. 이날 정운천 의원은 ‘전북도정 혁신’을 주제로 특강을 하면서 “내가 여기 초대받은 것 자체가 혁신”이라며 “말로만 협치를 외치기보다 구체적으로 협치를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했다. 이 요청에 김 당선인은 3급 정책보좌관 자리를 제안하며 화답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의회가 여소야대인 경우 여야 협치를 한 사례는 종종 있었다.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가 지난 2014년 취임 이후 도의회 다수당이자 야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연정합의문을 작성하고 ‘사회통합부지사’(연정부지사)를 민주당에 맡겨 협치를 시도했다. 하지만 김관영 당선인의 경우 민주당이 절대다수인 전북 지역에서 협치를 시도한 상황이라 파격적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