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배출 방식이 점차 세분화돼 가는 우리나라와 달리 해외에선 ‘단순화’가 추세다. 우리나라는 같은 플라스틱 제품이라도 ‘PP(폴리프로필렌)’ ‘페트(PET)’ 등 재질까지 표시하는데 소비자에겐 이런 분류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영국은 2009년부터 ‘포장재 재활용 표시 제도(OPRL·On-Pack Recycling Label)’를 운영 중이다. 이 제도는 분리배출을 할 때 재활용이 가능한지 아닌지만 따지자는 것이다. 재활용이 가능하면 제품 포장재에 녹색으로 ‘재활용(Recycle)’, 불가하면 검정 또는 회색의 ‘재활용 불가(Don’t Recycle)' 라벨을 생산 단계부터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소비자는 직관적으로 포장지를 통해 재활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모아진 재활용 쓰레기는 이후 선별장에서 지자체가 분류한다.
노르웨이에선 ‘색상별 봉투 시스템’(OSLO)을 운영 중이다. 시민은 분리 선별에 큰 수고로움 없이 쓰레기를 색깔별 봉투에 담아내면 된다. 초록 봉투는 음식물, 파란 봉투는 플라스틱, 그 외 쓰레기는 일반 봉투에 버리면 된다. 이렇게 수거된 플라스틱 쓰레기는 선별장에서 광학 인식 등을 통해 자동 선별된다. 우리나라처럼 플라스틱이나 비닐, 스티로폼 등 재활용품 종류별로 복잡하게 분리배출할 필요가 없다.
분리배출이 엄격한 나라도 단순화 추세는 같다. 독일은 분리배출 품목이 전국적으로 통일돼 있다. ‘색깔별 수거통’을 두고 어떤 쓰레기를 어디에 버려야 하는지 직관적으로 안내한다. 노란 통은 플라스틱·금속·포장재, 파란 통은 종이, 갈색 통은 음식물, 녹색 통은 유리, 검정 통은 일반 쓰레기를 버리는 식이다. 이렇게 큰 틀에서 시민이 분리배출을 하고나면 이후 선별·처리는 고도화된 시설에서 이뤄진다.
일본의 경우 주요 도시마다 분리배출 품목이 다르다. 각 지자체에서 품목별로 배출 요일과 시간까지 정한다. 배출법이 상세해서 지자체가 배출 날짜가 적힌 캘린더와 매뉴얼도 배포한다. 그러나 분리배출 자체는 어렵지 않다. ‘교육을 받지 않아도 가능한 분리배출’을 원칙으로 삼아 직관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