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경남 양산시 ‘평산책방’에서 손님에게 책을 건네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달 문을 연 ‘평산책방’이 하루 4~8시간씩 일할 자원봉사자 50명을 모집했다. 정치권에서는 ‘열정페이’ 논란이 나왔다. “소득 주도 성장을 외치며 무리하게 최저임금을 인상한 문 전 대통령이 무급 자원봉사자를 쓰는 것은 내로남불”이라는 지적이다.

평산책방은 지난 6일 소셜미디어에 ‘평산책방 자원봉사자 모집’ 글을 올렸다. 선착순으로 오전 4시간, 오후 4시간, 종일 8시간 자원봉사를 할 사람 총 50명을 구한다는 내용이었다. 평산책방은 혜택으로는 평산책방 굿즈와 점심식사 및 간식 제공을 제시했다. 다만 점심식사는 8시간 봉사자만 먹을 수 있다고 했다. 8시간 일해야 밥 한 끼라는 조건에 ‘열정페이’ 논란이 터졌다.

문 전 대통령은 2015년 당 대표 시절 “‘열정페이’란 이름으로 노동력을 착취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소득 주도 성장을 내세우며 집권 초반 2년간 최저임금을 각각 16.4%, 10.9% 인상하기도 했다. 그런 문 전 대통령이 책방지기로 있는 서점이 무급 자원봉사자를 공개 모집한 것이다. 김민수 국민의힘 대변인은 “말만 자원봉사자 모집일 뿐 실제로는 사라져야 할 열정페이를 강요하는 것”이라고 했다. 온라인에서는 “기업들 서포터스도 열정페이라고 뭐라 하더니 왜 본인이 열정페이를 이용하냐? 최저임금 주고 쓰라” 같은 반응도 나왔다.

문 전 대통령 측은 본지에 “평산책방에는 정직원이 있다”며 “문 전 대통령을 좋아하셔서 진심으로 자원봉사를 하시겠다는 분들이 많아서 따로 공고를 낸 것인데 그게 어떻게 열정페이가 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자원봉사자 모집은 공지 후 24시간도 지나지 않은 7일 오후 마감됐다.

평산책방은 이익이 남으면 지역 주민을 위한 사업과 책 보내기 등 공익사업에 쓰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재단법인 평산책방’을 통해 세금 지출을 최소화하고 인건비를 절감해 자금 조성이 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경율 회계사는 이날 본지 통화에서 “판매 물품이 책이라 부가가치세 면세, 문화예술 창달에 공헌하는 공익법인이라는 이유로 법인세를 안 낸다”며 “세금으로 단 한 푼 안 나가고 자신들이 목적한 곳에 돈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회계사는 “극단적 예를 들자면 유시민 작가와 3000만원짜리 ‘도서문화 창달에 대한 보고서 작성 용역’ 계약을 맺고 책방 수익금을 줘도 법적인 문제가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