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기 용인에 세계 최대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국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로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2042년까지 경기도 용인에 300조원을 투입해 첨단 반도체 공장 5개를 새로 짓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초격차 기술력 확보·혁신 인재 양성 등 6대 국가 총력 지원 과제,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6대 핵심 산업 전략을 담은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과 전국 4076만㎡ 부지에 15개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000억원) 등 6대 첨단산업에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 주도 투자를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경기 용인 남사읍에 단일 단지 기준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경기도 기흥·화성·평택·이천에 있는 기존 반도체 클러스터와 유기적으로 연결해 수도권 남부에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팹리스(설계) 기업 150개를 유치해 반도체 전 분야가 수도권 남부를 중심으로 집적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용인뿐 아니라 충청·호남·경남·대구·경북·강원권 등 비수도권 14개 지역을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하고, 반도체·미래차·우주·원전 등 첨단산업을 유치한다. 국가산단 지정에 걸림돌이 됐던 개발제한구역 규제를 적극적으로 완화하고, 신속한 산단 조성을 위해 ‘국가첨단산업벨트 범정부 추진지원단’도 구성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현재의 글로벌 경쟁 상황은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로, 서두르지 않으면 안 된다”며 “첨단산업 육성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 입지, R&D(연구개발), 인력, 세제 지원 등을 빈틈없이 해야 한다. 규제 완화와 교육, 주택 등 정주 여건 개선도 필요하다”고 했다.